전체 글904 [기획연재⑨] 모티베이션이론(동기부여) - 스키너의 강화이론 모티베이션이론의 그 일곱번째! 바로 버러스 프레더릭 스키너의 강화이론 입니다.이 이론을 주장하신분은 버러스 프레더릭 스키너(B.F. Skinner)입니다. 강화이론(reinforcement theory)동기부여에 대한 강화론적 접근은 인지이론에 대한 안티명제입니다. 왜냐하면 행위의 설명에 있어 인간의 인지적인 사고과정을 고려하지 않기 때문입니다. 앞서 살펴본 내용이론이나 과정이론은 사람들이 "왜" 특정 행동을 하는지를 설명하려 한 것이었으나, 강화이론은 사람의 행동이 환경적인 결과에 의하여 결정된다고 보고 있습니다. 강화이론의 기본 전제는 효과의 법칙(law of effect)이라는 겁니다. 스키너는 효과의 법칙을 응용하여 조작적 조건화(operant conditioning) 개념을 도입하였는데 이를 .. MBA시리즈/조직행동론 2013. 8. 26. 더보기 ›› [기획연재⑧] 모티베이션이론(동기부여) - 에드윈로크의 목표설정이론 모티베이션이론의 그 일곱번째! 바로 에드윈로크의 목표설정이론 입니다.이 이론을 주장하신분은 에드윈로크(E.A. Locke)입니다. 목표설정이론(goal-setting theory)인간행동이란 가장 쾌락적인 쪽으로 동기화 되기 마련이라는 기대이론의 가정을 인지적 쾌락주의라고 비판하면서 인간행동은 두가지 인지, 즉 가치와 의도(intention: 계획 혹은 목표)에 의해 결정된다고 주장. 핵심은 목표설정이 집중가 활동을 유발시키고 노력을 유도하며 인내력과 목표달성을 위한 전략의 개발을 고무시킨다. 는 것이 주요 내용입니다. 아래 그림을 보시면 더 이해하기 편하실거 같네요... 목표라는 것은 미래에 달성하고자 하는 바람직한 상태를 의미합니다. 구체적이고 어려운 목표일수록 높은 성과를 가져오고 개인의 .. MBA시리즈/조직행동론 2013. 8. 26. 더보기 ›› [기획연재⑦] 모티베이션이론(동기부여) - 존 아담스의 공정성이론 모티베이션이론의 그 여섯번째! 바로 존 아담스의 공정성이론 입니다.이 이론을 주장하신분은 존 아담스(J.S. Adams)입니다. 공정성이론이란?공정성이론은 기대이론과 유사한 시기에 제기된 이론입니다. 이 이론의 역사적 근원는 인지부조화이론과 교환이론으로 거슬러 올라갑니다. 공정성이론의 핵심은 조직구성원은 자신의 노력과 보상을 유사한 일을 하는 다른 사람의 노력과 보상과 비교하여 공정성이 유지될 수 있도록 동기부여 된다는 것입니다. 조직의 공정성은 3가지 측면을 가지는데 배분적(distributive), 과정적(procedural), 상호적(interactional) 공정성이 그것입니다. 배분적 공정성: 회사의 자원을 사원들 사이에 공평하게 분배했는지의 문제 과정적 공정성: 사원들에게 나누어 줄 분.. MBA시리즈/조직행동론 2013. 8. 26. 더보기 ›› [기획연재⑥] 모티베이션이론(동기부여) - 브룸의 기대이론 모티베이션이론의 그 다섯번째! 바로 브룸의 기대이론 입니다.이 이론을 주장하신분은 브룸(V. H. Vroom)입니다. 기대이론이란?기대이론의 기초는 파울로와 그의 동료들에 의해 처음 만들어진 목표-수단연계(goals-means chain)모델인데 개인에게 동기를 부여하려면 그가 바라는 최종목표와 그 목표에 이르는 중간 수단들과의 '연결'의 확률이 높아야 된다는 것을 강조한 이론입니다. 브룸은 인간이 일에 대한 노력의 수준을 결정하기 이전에 3가지의 주된 과제를 먼저 고려해야한다고 주장합니다. 첫째는 노력하면 요구되는 수준의 일을 달성 가능성이 있나?둘째는 일의 성과가 좋아지면 내가 바라는 결과를 얻을 가능성은 있나?세째는 내가 바라는 잠재적인 결과에 대해 내가 두고있는 가치는 어느 정도인가? 이러한 3.. MBA시리즈/조직행동론 2013. 8. 24. 더보기 ›› [기획연재⑤] 모티베이션이론(동기부여) - 데이비드 맥클레랜드의 성취동기이론 모티베이션이론의 그 네번째! 바로 맥클레랜드의 성취동기이론 입니다.이 이론을 주장하신분은 데이비드 맥클레랜드(D.C. McClelland)입니다. 성취동기이론의 개념데이비드 맥클레랜드는 매슬로우의 5가지 욕구중에서 상위욕구만을 대상으로 하여 3가지 범주로 나누어 관찰했는데, 이 3가지의 욕구가 인간행동의 80%를 설명한다고 주장합니다. 즉, 인간의 욕구는 선천적인 것보다는 사회의 문화로부터 학습되는 것으로 믿고 있었는데요.. 이는 학습의 개념과 밀접히 연관된 동기부여의 학습동기이론을 바탕으로 했습니다. 그는 학습된 동기인 성취욕구,친교욕구,권력욕구에 주된 관심을 가졌는데요.. 아래와 같이 나눌수 있습니다. 성취동기이론을 좀 더 자세히 살펴보면,, 1. 성취욕구(need for achievement:.. MBA시리즈/조직행동론 2013. 8. 24. 더보기 ›› [기획연재④] 모티베이션이론(동기부여) - 허즈버그의 2요인 이론 모티베이션이론의 그 세번째! 바로 허즈버그의 2요인(이요인)이론 입니다.이 이론을 만드신 분은 프리데릭 허즈버그(F. Herzberg)입니다. 2요인이론1959년 허즈버그는 203명의 회계전문가와 엔지니어에게 직무와 관련하여 가장 즐고웠고 만족했던 상황과 불만스러웠던 상황에 대해 자세히 설명해달라고 부탁했고, 이를 12회에 걸친 인터뷰를 통해 공통된 점을 발견하였습니다. 그것은 어떤 일반적인 견해와는 달리 인간에게 직무만족을 주는 요인과 직무불만족을 일으키는 요인이 서로 별개의 군을 형성하고 있음을 밝혔습니다. 즉, 무조건 아무 욕구나 충족시키면 사기가 오르는 것이 아니라 어느 욕구를 충족시키느냐에 따라 사기가 오를수도 있고 아무리 충족시켜 주어도 사기가 오르지 않는 욕구가 존재한다는 것을 발견하였습니.. MBA시리즈/조직행동론 2013. 8. 24. 더보기 ›› [기획연재③] 모티베이션이론(동기부여) - 알더퍼의 ERG이론 모티베이션이론의 그 두번째! 바로 알더퍼의 ERG이론 입니다.이 이론을 만드신 분은 알더퍼(C. Alafer)입니다. 알더퍼는 매슬로우의 욕구계층이론에는 동의하였으나 그와는 다르게 세가지 욕구의 형태로 새롭게 분류하였습니다. 1. 존재욕구(E, existence needs)2. 관계욕구(R, relatedness needs)3. 성장욕구(G, growth needs) 존재욕구: 기본적인 욕구로 음식, 공기, 물, 임금 그리고 작업조건과 같은 것에 대한 욕구관계욕구: 의미있는 사회적, 개인적 인간관계 형성에 의해서 충족되어 질 수 있는 욕구성장욕구: 개인의 생산적이고 창의적인 공헌에 의해서 충족되어질 수 있는 욕구좀 더 심플하고 세련되 보이나요? ㅎㅎ이것을 매슬로우의 욕구단계이론과 함께 보면 아래 그림과.. MBA시리즈/조직행동론 2013. 8. 24. 더보기 ›› [기획연재②] 모티베이션이론(동기부여) - 매슬로우의 욕구단계이론 모티베이션이론의 그 첫번째! 바로 매슬로우의 욕구단계이론 입니다.이 이론을 만드신 분은 에브러햄 매슬로우(A.H. Maslow)입니다. 인간을 행동하게 만드는데에는 두 분류가 있는데 부족해서 생기는 욕구(하위욕구:Deficiency needs)와 더 성장하고 싶어서 생기는 욕구(상위욕구:Growth ceeds)가 그것입니다. 사람은 일단 부족해서 생긴 욕구가 만족되면 얼마안가서 또 다른 종류의 부족함을 느낍니다. 그래서 그 부족함을 채울려고 노력하죠. 매슬로우는 소위 욕구의 사다리라고 할 수 있는 욕구단계이론을 발표합니다. 욕구단계이론(Hierarchy of needs theory) 계층명칭내용기업에서 충족가능 분야1단계생리적, 기본적욕구생존을 위한 의식주 욕구, 신체적욕구통풍, 난방장치, 최저임금2.. MBA시리즈/조직행동론 2013. 8. 23. 더보기 ›› [기획연재①] 모티베이션 이론(동기부여) - 회사 성과 올리는 방법 무엇이 사람들에게 열정을 불러일으키게 하는가?개인의 능력을 발휘하도록 하는 원동력은 무엇인가? 조직행동론에서 이에 대한 해답을 찾을수 있습니다. 바로 모티베이션이론이죠!개인의 성과(Performance)는 여러가지 요인에 의해 결정이 된다고 합니다.그것은 능력과 그러한 능력을 발휘하려는 노력인 동기부여, 그리고 작업 조건이 바로 그것이죠.조직에서의 개인의 성과는 능력*동기부여*작업환경 = 성과 라는 함수식으로 나타낼수 있습니다. 직장인에게 개인의 능력은 중요하죠... 그 능력을 2배로 끌어낼수 있는 것이 바로 모티베이션인데요..그럼 모티베이션이란 무엇인지 어원부터 한번 살펴보겠습니다. 모티베이션(Motivation)이란?① 어원: "움직이게 하다"라는 라틴어에서 파생② 정의: 목표를 향한 자발적인 행동.. MBA시리즈/조직행동론 2013. 8. 23. 더보기 ›› 인지부조화이론과 조직경영 (공정성) 인지부조화현상 이라는 말을 들어보신적이 있으신가요?인지 심리학자인 레온 페스팅거(Leon Festinger)에 의해 처음 알려지게된 동기부여이론 중 하나인데요.. 이 이론을 발표하게 된 동기는 1960년대 중반 미국이 담배가 몸에 해롭다는 광고를 강제적으로 담배곽에 인쇄하게 하는 법을 정합니다. 담배가 몸에 해롭다는 광고를 보고 담배소비량이 줄어들 것이라고 기대를 했죠. 허나 그 반대로 광고 이후 담배 소비량은 더 늘어나게 되었습니다. 기존의 동기 이론들중에서는 강화이론과도 정반대의 효과가 나타나고, 매슬로우의 욕구단계이론에서 설명하는 자아실현이라는 측면에서도 설명이 안되었습니다. 이때, 나타난 '페스팅거' 라는 심리학자가 인지 심리학적인 동기부여 이론을 내놓게 된것이죠. 일종의 사람들의 태도변화이론중.. 상식시리즈/인사조직 2013. 8. 20. 더보기 ›› 이전 1 ··· 84 85 86 87 88 89 90 91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