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MBA시리즈/인적자원관리3

인사전략의 기본모델 - HR전략의 5가지 조건 제3강 인사전략과 전략적 hr에 대한 강의를 시작해보도록 하겠습니다. 지난 2강에서는 전략적 인적자원관리의 개념에 대해서 간단하게 정리를 해보았는데요. 이번 3강에서도 계속해서 이어나가도록 하겠습니다. 이번 강의에서는 인사전략의 기본모델과 향후 인적자원과 관련된 주요 환경적 변화에 대한 인적자원관리가 안고있는 과제 등에 대해서 다루어보도록 하겠습니다.  인적자원의 경쟁력인사관리의 패러다임이 전략적 인적자원관리로 전환이 되면서 사람에 대한 관리도 전략적인 관점에서 이루어져야 합니다. 그래서 기존의 인적자원관리를 통합적인 관점에서 다루어야 하고, 이를 위해서는 수직적통합과 수평적통합이 이루어져야 합니다.   수직적 통합은 조직이 추구하는 사업의 목표를 달성하기 위해 기업은 전략을 수립하게 되고, 인적자원관리.. MBA시리즈/인적자원관리 2020. 4. 4.
전략적 인적자원관리 - HRM 패러다임의 변화 제2강 전략적 인적자원관리에 대한 내용을 공부해보도록 하겠습니다. 제2강의 주요 내용을 정리해보면 우선 ‘자원경영’에 대한 이해를 먼저하고, 그 다음에 기업경영과 인적자원관리는 서로 어떤 연관성을 지니고 있는지에 대한 부분을 알아보며, 최종적으로 인적자원관리의 패러다임 변화속에서 전략적 인적자원관리가 가지고 있는 의미에 대해서 다루어 보도록 하겠습니다.   자원경영에 대한 이해자원이라 하면 기업이 보유하고 있는 생산에 이용되는 노동력이나 기술 따위를 통틀어서 자원이라고 합니다. 기업이 이러한 자원을 효율적인 관리혁신을 위해 필요한 유형자원을 전략적으로 확보하고 활용하는 관리방식을 자원경영이라고 부릅니다. 기업의 자원은 크게 유형자원과 무형자원으로 구분을 하는데 일반적으로 자원경영이라 함은 유형자원을 지칭.. MBA시리즈/인적자원관리 2020. 3. 5.
인적자원관리 기초 개념과 경영조직의 이해 인적자원관리란 기업의 구성원들을 합리적인 규정과 절차에 따라 이루어지도록 제도화하는 것을 말하는데 과거에는 인사관리 라고 불렀습니다. 기업체에서 필요로 하는 인력을 확보하고 그들을 교육하며, 평가하고 보상하기 위한 제도적인 장치를 구축하고 운영하는 경영활동을 인적자원관리라고 부릅니다. 인적자원관리에 대한 기초 개념을 이해하기 위해서 인간과 조직의 탄생배경, 그리고 조직은 왜 경영활동과 분업을 할 수밖에 없는지 서로 어떤 연관성을 가지고 있는지에 대해서도 배워보도록 하겠습니다. 또한 경영조직론의 개념과 연구대상, 구성체계에 대한 내용도 같이 살펴보도록 하겠습니다.  인간과 조직의 탄생인간과 조직의 탄생배경을 살펴보도록 하겠습니다. 인간은 혼자서는 살아갈 수 없는 사회적인 동물입니다. 인간이 생존하기 위해서.. MBA시리즈/인적자원관리 2020. 2. 2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