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획연재⑨] 모티베이션이론(동기부여) - 스키너의 강화이론
모티베이션이론의 그 일곱번째! 바로 버러스 프레더릭 스키너의 강화이론 입니다.
이 이론을 주장하신분은 버러스 프레더릭 스키너(B.F. Skinner)입니다.
강화이론(reinforcement theory)
동기부여에 대한 강화론적 접근은 인지이론에 대한 안티명제입니다. 왜냐하면 행위의 설명에 있어 인간의 인지적인 사고과정을 고려하지 않기 때문입니다. 앞서 살펴본 내용이론이나 과정이론은 사람들이 "왜" 특정 행동을 하는지를 설명하려 한 것이었으나, 강화이론은 사람의 행동이 환경적인 결과에 의하여 결정된다고 보고 있습니다.
강화이론의 기본 전제는 효과의 법칙(law of effect)이라는 겁니다. 스키너는 효과의 법칙을 응용하여 조작적 조건화(operant conditioning) 개념을 도입하였는데 이를 경영학에서 원용하여 조직의 행동수정(OBMod)라는 용어로 쓰고 있습니다. 강화(reinforcement)란 같은 행동이 반복해서 일어나게 하는 것 또는 학습자가 이미 갖고 있는 느낌이나 태도, 지식을 더 견고히 해주는 것을 말합니다.
행위의 수정에 있어 4가지 형태의 강화가 있는데 그 유형은 긍정적강화, 부정적강화, 소거, 벌 입니다.
그 내용에 대해 아래와 같이 알아보면,,
긍정적 강화(positive reinforcement)
- 바람직한 행위의 빈도를 증가시키기 위한 방법으로 유쾌한 보상을 제공하는 것. 행위의 결과를 보상하는 칭찬, 급여인상, 휴가등이 바람직한 행위의 반복을 가져오게 되면 긍정적강화 요인이 되는것이다.
부정적 강화(negative reinforcement)
- 불쾌하거나 해가 되는 자극을 주어 개인이 이러한 부정적인 자극이나 해를 벗어나기 위하여 바람직한 행위를 하도록 유도하고자 하는것.
소거(extinction)
- 어떤 행위를 없애기 위한 것이다 즉, 이방법은 어떠 행위를 감소시키기 위하여 과거에 그런 행위와 관련되어 있던 긍정적인 강화를 철회하는 것이다.
벌(punishment)
- 행위를 감소시키거나 금지하도록 하기 위하여 부정적인 결과를 제공하는 것이다. 예로 바라지 않는 행위가 일어났을때 이를 비판한다든지, 임금을 주지 않고 정직을 시킨다든지 혹은 교육의 기회를 박탈하거나 새로운 장비의 사용을 금지하는 것 등이 그것이다.
이상의 4가지 강화전략을 비교 설명하면 긍정적강화와 부정적강화는 특정행동(바람직한 행동)을 증가시키는 것이 주목적이며, 처벌과 소멸은 특정행동(바람직하지 않은 행동)을 감소시키는 것이 주목적입니다.
강화이론의 예시
이해를 좀 더 쉽게 하기위해 예로 한번 들어 설명하겠습니다.
그림에서 긍정적강화와 부정적강화의 목표는 불량품없이 목표생산성을 달성하는 것입니다. 이를 위해 긍정적강화에 의하여 목표가 달성되면 급여를 더 줍니다. 부정적강화에 의하면 이 목표를 달성하기 위해 잔소리를 하지 않습니다. 반면 소멸과 처벌의 목표는 불량품 생산을 줄이는 것입니다. 불량률이 높으면 감봉을 하거나(처벌) 성과급 지급을 취소(소멸)할수 있습니다. 이렇게 설명드리니까 이해가 빠르시죠?
강화스케줄과 강화방법
기본적으로 강화이론은 바람직한 행위를 유도하기 위해 긍정적인 강화를 사용할 것을 강조하고 있습니다. 긍정적인 강화를 사용함에 있어 연구자들은 보상의 패턴에 따라 새로운 행위를 습득하는데 걸리는 시간과 그러한 행위가 지속되는 정도가 달라짐을 발견하였습니다.
- 연속강화스케줄: 바람직한 행위는 행위가 있을 때마다 보상을 주는 방법
- 부분강화스케줄: 간헐적으로 행위에 대한 보상이 이루어지는 것
이와같은 긍정적인 강화의 시기와 기초를 구체하한 패턴의 변화를 강화스케줄(reinforcement schedules)이라 합니다. 여기에는 2가지의 강화스케줄이 있습니다. 연속강화(continuous rein-forcement)와 부분강화(intermittent reinforcement)가 그것입니다.
고정 | 고정간격법 | 고정비율법 |
정해진 시간마다 강화가 이루어짐 | 행위가 일어나는 매번 때마다 강화가 이루어짐 | |
변동 | 변동간격법 | 변동비율법 |
강화시기가 무작위적으로 변동 | 강화가 이루어지는데 필요한 행위의 횟수가 무작위적으로 변동 |
이러한 강화방법 가운데 어떠한 강화방법이 보다 효과적인지는 학습의 내용과 학습환경에 따라 다릅니다. 그러나 일반적으로 볼 때, 연속강화법 보다는 부분강화법이, 그리고 부분강화법 가운데서도 간격법 보다는 비율법이, 그리고 비율법 가운데에서는 고정법 보다는 변동법이 보다 효과적이라고 할수 있다고 합니다.
'MBA시리즈 > 조직행동론' 카테고리의 다른 글
[기획연재⑧] 모티베이션이론(동기부여) - 에드윈로크의 목표설정이론 (2) | 2013.08.26 |
---|---|
[기획연재⑦] 모티베이션이론(동기부여) - 존 아담스의 공정성이론 (0) | 2013.08.26 |
[기획연재⑥] 모티베이션이론(동기부여) - 브룸의 기대이론 (1) | 2013.08.24 |
[기획연재⑤] 모티베이션이론(동기부여) - 데이비드 맥클레랜드의 성취동기이론 (0) | 2013.08.24 |
[기획연재④] 모티베이션이론(동기부여) - 허즈버그의 2요인 이론 (0) | 2013.08.24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