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전체 글938

마케팅이란 무엇인가 - 교환의 효율적 관리를 위한 학문 마케팅은 19세기 초반부터 21세기에 이르기까지 미국을 중심으로 발전을 하게 된 학문분야중 하나입니다. 철도와 통신망의 발달로 인해서 미국 전역이 하나의 시장으로 연결이 되면서 시장판매를 위한 방법론이 대두가 되었는데 이것이 오늘날 마케팅이론의 출발점이라고 볼수가 있습니다. 마케팅이란 무엇인가 - 시장과 교환 마케팅이라는 개념이 만들어지기 이전에는 교환이라고 하는 것이 사람들 사이에 이미 있었습니다. 사회가 점차적으로 분업화를 이루고, 전문화가 됨에 따라서 생산과 소비를 연결시켜주는 교환에 대한 의존성이 커지게 되었는데 마케팅은 바로 이러한 교환을 창출하고, 효율적으로 관리할 필요성에 의해서 시작된 개념입니다. 그림을 보시면 생산자는 기업이고, 구매자는 소비자입니다. 이들의 교환이 이루어지는 장소는 시장.. 상식시리즈/마케팅 2022. 4. 3.
지급준비율과 지급준비금이란 - 은행의 신용창조 과정과 통화량 조절 은행은 고객들의 예금을 받아서 일정비율의 금액은 남겨두고 나머지 금액을 모두 대출을 해줄수가 있는데 이것을 법적으로 규정해놓은 것이 지급준비제도입니다. 고객이 맡긴 예금중 일부를 중앙은행인 한국은행에 예치해 놓은 금액을 지급준비금이라고 부르고, 전체 예금 중 의무적으로 적립해야 하는 비율을 지급준비율이라고 부릅니다. 지급준비율에 따른 은행의 신용창조 과정의 변화와 통화정책을 통한 통화량 조절은 어떻게 하는것인지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지급준비율과 지급준비금이란 무엇인가지급준비금은 크게 법정지급준비금과 초과지급준비금으로 구분을 할 수가 있습니다. 법정지급준비금은 말 그대로 법적인 근거에 의해서 중앙은행에 일정비율의 예금을 예치해놓은 돈을 의미하는데 이것을 다른말로는 필요지준이라고도 부릅니다.  초과지급준비.. 상식시리즈/금융투자 2021. 8. 28.
유동성이란 무엇인가 - 유동성 함정과 원인 유동성이란 자산을 현금으로 전환 할 수 있는 정도를 나타내는 용어인데 팔릴 가능성으로 해석할 수가 있습니다. 원하는 시기에 자산을 손실 없이 얼마나 빨리 돈으로 바꿀수 있는가의 정도를 나타내는 용어가 유동성입니다. 유동성 함정은 중앙은행이 시장에 화폐를 공급해도 실물경제에 아무런 영향을 주지 못하는 경제현상을 말합니다. 유동성이란 무엇인가 유동성은 크게보면 자산의 유동성과 경제주체의 유동성으로 구분할 수가 있는데요. 먼저 자산의 유동성은 다시 화폐의 유동성과 금융자산의 유동성으로 나누게 됩니다. 화폐의 유동성은 그냥 현금이라고 보시면 되고, 금융자산의 유동성은 주식이나 채권, 부동산 등이라고 생각하시면 이해가 쉬울 것 같습니다. 유동성이라는 개념은 크게 2가지 의미를 내포하고 있는데 원하는 시기에 언제든.. 상식시리즈/금융투자 2021. 8. 27.
통화승수와 통화 유통속도란 무엇인가 - 공식과 변화추이 통화승수는 시중은행의 신용창조 기능이 원활하게 작동을 하고 있는지를 알려주는 지표이고, 통화 유통속도는 돈의 평균회전율을 알려주는 지표입니다. 경제 내에서 돈이 얼마나 늘어나고 있고, 돈의 회전율이 어느정도 되는지를 파악하려면 이 두 개의 지표를 서로 비교를 해보면 돈의 흐름이 어떻게 되는지 감을 잡을수가 있습니다. 통화승수와 통화 유통속도란 무엇인가? 한 나라의 경제 내에서 사용이 되는 화폐의 양을 통화량이라고 하는데 통화량이 얼마나 늘었고, 얼마나 빨리 회전하고 있는지를 알려주는 지표가 통화승수와 통화 유통속도입니다. 먼저 통화승수라고 하는 것은 은행의 신용창조가 얼마나 활발하게 늘어나고 있는지를 보여주는 지표입니다. 만약 한국은행이 화폐 1원을 공급했을 때 시중 통화량이 얼마나 늘어나는지를 파악하는.. 상식시리즈/금융투자 2021. 8. 26.
광의통화(M2)란 무엇인가 - 정기예적금, 시장형 금융상품, 실적배당형 금융상품 광의통화란 현금통화와 요구불예금, 수시입출식 저축성예금을 의미하는 협의통화(M1)에다가 만기 2년 미만의 예적금 및 금융채, 시장형 상품과 실적배당형 상품 등을 모두 포함한 통화지표를 의미합니다. 주로 2년 미만의 금융상품을 다루고 있기 때문에 준결제성예금이라고도 부릅니다. 오늘은 경제기사에 자주 등장하는 통화량 지표인 광의통화에 대해서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광의통화(M2)란 무엇인가 광의통화는 협의통화에다가 준결제성예금 상품들을 추가한 통화지표입니다. 주로 2년 미만의 금융상품을 다루고 있는데 여기서 말하고 있는 준결제성예금이라고 하는 것은 유동성은 낮지만 언제든지 이자소득을 포기하고서라도 결제성 자금으로 전환을 할 수 있는 예금을 의미합니다. 즉, 투자기회가 생긴다면 언제라도 투자자금으로 활용할 수.. 상식시리즈/금융투자 2021. 8. 25.
협의통화(M1)란 무엇인가 - 현금통화, 요구불예금, 수시입출금식 예금 협의통화라고 하는 것은 민간이 보유하고 있는 현금과 언제라도 현금화를 할 수 있는 은행예금이 더해진 결제성예금을 뜻합니다. 시중에 현금이나 즉시 현금화를 할 수 있는 통화가 얼마나 되는지를 알려주는 단기자금의 지표로써 사용이 되는데요. 협의통화는 현금통화와 요구불예금 그리고 수시입출식 저축성예금을 더한 통화지표입니다. 협의통화(M1)란 무엇인가? 본원통화와 협의통화를 서로 비교해서 살펴보게되면 본원통화는 중앙은행에서 돈을 찍어내서 시중에 공급한 현금이기 때문에 현금성통화 그 자체를 뜻하고 있습니다. 그래서 민간이 보유하고 있는 현금통화와 시중은행의 지급준비금이 더해져서 본원통화를 구성하게 됩니다. 협의통화는 오늘이라도 당장 은행에 가서 현금으로 바꿀수 있거나 수표를 발행해서 지급할 수 있는 결제성 예금이.. 상식시리즈/금융투자 2021. 8. 24.
본원통화(M0)란 무엇인가 - 지급준비금, 현금통화, 지준예치금, 시재금 본원통화라고 하는 것은 중앙은행인 한국은행에서 발행한 화폐가 창구를 통해서 시장에 공급된 현금성통화를 말합니다. 여기서 말하고 있는 현금성통화는 한국은행의 조폐공사가 찍어낸 돈 모두를 본원통화라고 하는 것이 아니라 시중은행으로 흘러들어간 돈만 본원통화로 잡히게 됩니다. 오늘은 본원통화를 구성하는 지급준비금, 현금통화, 지준예치금, 시재금, 화폐발행액에 대해서 간단히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본원통화(M0)란 무엇인가? 중앙은행이 어떻게 본원통화를 공급하게 되는지 그 과정을 살펴보면 중앙은행은 법화를 발행할 수 있는 독점적 권한을 가지고 있는 은행입니다. 그래서 법화발행의 독점권한을 이용해서 지폐와 주화 형태로 돈을 공급하게 되는데 이것을 본원통화라고 부릅니다. 본원통화(Monetary Base)는 민간이 .. 상식시리즈/금융투자 2021. 8. 23.
M1 M2 통화지표와 통화량 증가 추이 - M1/M2비율 통화라고 하는 것은 유통수단이나 지불수단으로써 사용하는 화폐를 말하는 것인데, 한 나라안에서 유통이 되는 화폐의 양을 측정할 때는 통화라는 용어를 사용하게 됩니다. M1 M2 통화지표는 협의통화와 광의통화를 말하고 Lf와 L은 유동성지표를 뜻합니다. 통화량 증가 추이를 통화지표를 통해 확인할 수 있는 방법에 대해서 정리해보겠습니다. M1 M2 통화지표 - 협의통화와 광의통화경제 내에서 유통이 되는 화폐의 양을 통화량이라고 부르고, 통화량을 측정하는 척도를 통화지표라고 부릅니다. 통화지표는 크게 본원통화와 파생통화로 구분을 할 수가 있는데요. 그림을 보시면 한국은행이 공급하는 돈을 본원통화라고 하고, 금융기관을 통해 공급이 되는 돈을 파생통화라고 부릅니다. 민간에 공급된 현금성 통화는 다시 금융기관에 흘러.. 상식시리즈/금융투자 2021. 8. 21.
통화란 무엇인가 - 화폐의 기능 및 종류 (법정화폐와 실물화폐) 통화는 돈과 같은 개념으로 생각 할 수가 있습니다. 돈이라고 하는 것은 유통수단이나 지불수단으로써 사용하는 화폐를 뜻하는데 우리가 일상생활에서 돈이라는 말을 자주 사용을 합니다. 돈은 상황에 따라서 그 의미가 다르게 해석될 수가 있는데, 예를들면 ‘그 사람은 정말 돈이 많다’ 할때의 돈은 재산을 의미하고, ‘그 친구는 돈을 잘 번다’ 할때의 돈은 소득을 의미합니다. 또는 친구에게 ‘돈 좀 빌려줘’ 할때의 돈은 현금과 같은 지폐를 의미하게 되는데요. 통화란 무엇인가 - 화폐의 기능 및 종류 돈이라고 하는 것은 상황에 따라서 그 의미가 다르게 해석되기도 하고, 무언가 딱히 정해지지 않은 개념으로써 자리를 잡고 있는데, 사실상 경제주체들의 거래능력을 숫자로 나타낸 추상적인 개념에 불과했습니다. 그런데 돈의 추.. 상식시리즈/금융투자 2021. 8. 19.
고정이하 여신비율이란 무엇인가 - 은행의 자산건전성 지표 고정이하여신이란 은행이 보유한 여신(3개월 이상 연체된 대출)을 뜻하며, 부실채권으로 분류된 여신을 의미합니다. 고정이하여신비율은 은행이 보유한 총여신 중에서 고정이하 여신이 차지하는 비율을 나타낸 것으로써 부실채권의 현황을 보여주는 지표로써 사용이 되고 있습니다. 은행이 보유하고 있는 여신을 자산건전성에 따라 정상, 요주의, 고정, 회수의문, 추정손실의 5단계로 분류하고, 이중 정상과 요주의를 뺀 나머지 고정, 회수의문, 추정손실을 고정이하여신이라고 부릅니다. 오늘은 은행의 자산건전성 지표인 고정이하여신과 그 비율에 대해서 정리해보도록 하겠습니다. 자산건전성 분류기준과 고정이하여신 은행의 자산건전성 분류기준은 크게 5단계로 분류를 하게되는데 정상, 요주의, 고정, 회수의문, 추정손실로 구분을 하고 있습.. 상식시리즈/금융투자 2021. 8. 1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