통화량 통화지표 종류 - 본원통화와 파생통화 (M0, M1, M2, Lf, L)
통화량은 통화가 경제 내에서 유통이 되는 화폐의 양을 통화량이라고 부르고, 통화량을 측정하는 척도가 바로 통화지표입니다. 즉, 돈의 양이 곧 통화량이고 돈의 양을 측정하는 지표가 통화지표입니다. 통화지표에는 본원통화인 M0와 협의통화인 M1, 광의통화인 M2가 있고, 유동성 지표로써 금융기관 유동성의 Lf와 광의유동성의 L이 있습니다.
통화량 통화지표 종류 - 본원통화와 파생통화
통화라고 하는 것은 유통수단이나 지불수단으로써 사용이 되는 화폐를 뜻합니다. 화폐를 발행하는 기관은 한국은행인데 우리가 흔히 말하는 화폐는 한국은행에서 발행한 지폐와 동전을 의미합니다. 통화가 경제 내에서 유통이 되는 화폐의 양을 통화량이라고 부르고, 통화량을 측정하는 척도가 바로 통화지표입니다. 즉, 돈의 양이 곧 통화량이고 돈의 양을 측정하는 지표가 통화지표입니다.
본원통화(M0)는 한국은행이 화폐를 발행해서 시중에 공급한 현금성 예금을 뜻합니다. 이때 조폐공사에서 찍어낸 돈은 본원통화에는 잡히지 않고, 시중으로 흘러들어 간 돈만 본원통화에 포함이 됩니다. 그래서 본원통화라고 하면 민간이 보유한 현금과 지급준비금 그리고 은행이 보유한 시재금을 합한 것을 본원통화라고 부릅니다.
협의통화(M1)는 오늘이라도 당장 은행에 가서 현금으로 바꿀수 있는 결제성 예금을 의미하는데 이건 시중에 현금이나 현금화할 수 있는 통화가 얼마나 되는지를 알려주는 통화지표를 의미합니다. 그래서 협의통화인 M1은 본원통화에다가 요구불예금과 수시입출금식 예금을 모두 더한 것이 협의통화가 됩니다.
광의통화인 M2는 경제기사에 자주 등장하는 통화지표인데요. 이건 협의통화인 M1에다가 만기 2년 미만의 기타예금 등을 모두 더한 것을 의미합니다. 통화량은 물가나 금리에 영향을 많이 주기 때문에 한국은행에서는 이 지표를 보고 금융정책 등을 결정하게 됩니다.
그리고 유동성 지표를 나타내는 금융기관 유동성(Lf)과 광의유동성(L)이 있는데요. 금융기관 유동성은 모든 금융기관의 통화량을 의미하고, 광의 유동성은 나라 안의 총통화량을 뜻한다고 보시면 되겠습니다.
통화지표의 구성요소 - 통화유동성
통화지표는 크게 금융상품의 종류, 통화의 발행주체, 통화의 보유주체 등의 요소에 의해서 결정을 하게 됩니다. 예를 들면 M2는 예금취급기관이 발행한 금융상품 중에서 가계나 기업들이 보유한 현금통화, 결제성 예금, 기타 2년 미만의 예금 및 금융상품의 합으로 정의를 내리고 있습니다.
즉, 통화 발행주체가 누구이고, 통화를 누가 보유하고 있으며, 어떠한 금융상품들이 있는지 등의 요소에 따라서 통화지표가 정해진다 라고 볼 수 있습니다. 보통은 금융상품의 종류에 따라서 구분을 하게 되죠.
표를 보시면 2017년도말을 기준으로 우리나라의 통화 유동성 지표를 나타낸 자료입니다. 현금통화가 본원통화이고, 요구불예금과 수시입출식 예금을 더한 것이 M1이 되는데 협의통화인 M1은 대략 849조 원가량 됩니다.
광의통화인 M2는 2,530조원 규모이고, 금융기관 유동성인 Lf는 3,565조 원 그리고 광의 유동성인 L은 4,530조 원 규모로 나타나고 있습니다. 이 표에서도 알 수 있듯이 우리나라에서 유통되는 돈의 양이 얼마 정도 되는지를 금방 알 수가 있고, 돈의 흐름 또한 대략적으로 파악을 할 수가 있기 때문에 금리 기사와 연계해서 통화지표를 살펴보시면 많은 도움을 받을 수가 있게 됩니다.
마치며
통화량을 나타내는 통화지표의 종류에는 본원통화와 파생통화로 구분을 하며 본원통화인 M0와 협의통화인 M1, 광의통화인 M2와 유동성 지표로써 금융기관 유동성인 Lf, 광의유동성인 L이 있습니다. 본원통화는 현금성 예금을 뜻하고, 협의통화는 결제성 예금을 뜻하며 광의통화는 협의통화에다가 만기 2년 미만의 정기예금 등의 준결제성 예금을 더한 것을 뜻합니다. 뉴스나 신문기사에서 통화량이라고 하면 바로 이 광의통화 M2를 의미한다고 보시면 되겠습니다.
나라안의 전체적인 통화유동성을 측정하는 지표로 금융기관 유동성과 광의유동성이 있는데 금융기관 유동성은 모든 금융기관의 통화량을 뜻하고, 광의 유동성은 나라 안의 총통화량을 뜻한다고 볼 수 있습니다. 통화지표는 금융상품의 종류, 통화의 발행주체, 통화의 보유주체에 따라서 결정을 하게 되는데 보통은 금융상품의 종류에 따라서 구분을 하게 됩니다.
'지식시리즈 > 금융(재테크)' 카테고리의 다른 글
유동성 뜻과 통화승수의 이해 - 통화량 증가율이 주는 시사점 (0) | 2021.04.15 |
---|---|
통화공급과 지급준비율 - 은행의 신용창조 과정 (태환지폐와 불환지폐) (0) | 2021.04.14 |
기업어음과 CP금리 - 어음의 종류와 신용등급 체계 (0) | 2021.04.06 |
양도성예금증서와 CD금리 - 코픽스금리와의 관계 (0) | 2021.04.05 |
콜금리와 콜시장 - 지급준비율과 기준금리의 관계 (0) | 2021.04.04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