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상식시리즈465

대기업 기준 - 상호출자제한기업집단 이란 우리나라에서 규정하고 있는 기업을 분류하는 기준은 크게 대기업, 중견기업, 중소기업으로 하고, 그외 벤처기업, 강소기업, 소상공인 등으로 나누어서 구분을 합니다. 이는 자산규모, 종업원수, 법적근거 등을 통해서 기준을 정하게 되고, 이에 따른 각종 제도와 혜택 그리고 규제 등을 받게 됩니다. 그렇다면 우리나라에서는 대기업을 무슨 근거로 정하는걸까요? 아래의 내용을 같이 한번 살펴보도록 하겠습니다. 우리나라에는 공정거래위원회라는 곳이 있습니다. 여기서 하는 일은 주로 시장의 공정한 거래가 이루어질수 있도록 정부에서 행정력을 바탕으로 정책과 규제와 각종 지원사업등을 하는 곳입니다. 특히 중소기업과 소상공인의 공정한 경쟁기회를 보장하고, 대기업집단의 경제력 남용을 방지하며, 소비자권익을 보호할 수 있는 각종 .. 상식시리즈/경영일반 2019. 1. 25.
공공기관 지정현황 2018 - 공기업 개념과 유형 오늘은 모처럼 새해도 밝았고, 새로운 마음가짐을 가지고 공부를 해보자는 심정으로 좋은 정보를 드리고자 아래와 같이 공기업에 대한 개념과 유형에 대해서 정리를 해보았습니다. 요즘 공무원 시험 준비하시는 분들 많으시죠? 항상 힘들내시고, 좋은 결과가 있기를 기원합니다.  공공기관이란 [공공기관의 운영에 관한 법률]에 근거해서 기획재정부장관이 지정하는 기관을 의미합니다. 기획재정부 장관은 이 법률에 따라 설립되고 지정 요건에 따라 1호에서 6까지 구분을 해서 나눕니다.  1. 공공기관 지정요건기획재정부장관은 법률에 따라 설립되고 정부가 출연한 기관, 정부의 직.간접적 지원액이 총수입액의 1/2를 초과하는 기관, 정부 또는 공공기관이 사실상 지배력을 보유한 기관, 정부 또는 공공기관이 출자한 기관을 공공기관으로.. 상식시리즈/경영일반 2019. 1. 24.
기업 비전이란 - 그 의미에 대해서 비전이란 조직의 궁극적인 목표를 표현하는 성명서와 같습니다. 비전이 회사의 미래 모습을 상정한 것이라면 전략방향은 그것을 달성하는 방법의 거시적 원칙을 나타냅니다. 어뜬 보기에는 비전과 전략방향이라는 용어가 서로 일맥상통하는 것도 있는데 사람들에 따라 서로 혼용되어 사용되기도 합니다. 모든 조직이 명확하고 달성 가능한 장기 비전을 갖는 것은 매우 중요합니다. 최고경영자와 관리자 또는 직원이 동일한 조직의 목표를 달성하도록 안내하는 성명서, 비전선언문은 '우리 사업이 무엇을 하고 싶은가?' 라고 묻고, 대개는 영감을 주고 명료하며, 기억에 남는 한 문장으로 회사의 장기적인 지위를 표현합니다. 비전의 정의 (Vision Definition) 기업이 설정하고 있는 경영이념 내지는 창업이념을 기초로 하여 회사가.. 상식시리즈/경영전략 2018. 10. 24.
벤치마킹 뜻과 전략도구로써의 업무 활용법 벤치마킹 뜻과 전략도구로써의 업무 활용법벤치마킹은 비즈니스 프로세스 및 제품의 성능을 업계 내외의 다른 회사의 최고 성능과 비교분석하여 사용되는 전략 도구입니다. 벤치마킹은 뒤어난 성능을 이끌어내는 업계의 모범 사례를 찾는 것입니다. 자신의 사업을 경쟁자와 비교하는 것은 필수적입니다. 이 방법이 없다면 여러분은 시장에서의 성과가 어마나 성공적인지, 경쟁사보다 더 잘하는지를 결코 알수가 없을 것입니다. 예를 들어 고객만족도가 85%에 달하거나 업계평균에 비해 훨씬 높을 수도 있지만, 다른 회사들이 97%의 비율을 쉽게 달성한다면 어떨까요? 이런 상황에서는 85%의 만족도가 그리 훌륭해보이지 않을 것입니다. 그러므로 여러분들의 상황을 더 잘 이해하고 회사의 성과를 향상시키기 위해서는 벤치마킹을 사용해야 합니.. 상식시리즈/경영전략 2018. 10. 23.
앤소프 매트릭스(Ansoff Growth Matrix) - 사업 성장전략 분석툴 기업이 성장을 하기 위해서는 사업규모를 키워야 합니다. 그러데 사업 규모를 확대하기 위해서는 그만큰 투자가 되어야 하고, 투자로 인한 리스크도 따르므로 무조건 규모를 키우는 것은 경영자 입장에서는 의사결정이 쉽지가 않습니다. 기업규모를 키우는 전략은 다양한 방법들이 존재하는데 앤소프는 2가지 관점에서 사업을 성장하고 확대시키는 것을 제안하였습니다. 앤소프 매트릭스는 1957년 하버드 비즈니스 리뷰에서 'Strategies for Diversification' 이라는 기사에서 처음 소개되었습니다. 매트릭스는 조직이 이용할 수 있는 성장 기회를 보여주기 위해 사용이 되며 이 횡렬은 전략가들이 전략적 방향뿐만 아니라 고려사항에서 위험과 보상을 생각할 수 있도록 도움을 줍니다. 앤소프의 성장 매트릭스 앞서도 이.. 상식시리즈/경영전략 2018. 10. 22.
맥킨지 7s Model - 7가지 경영자원을 통해 조직력을 분석한다 맥킨지 7s Model - 7가지 경영자원을 통해 조직력을 분석한다 이 모델은 전략, 구조, 시스템, 공유가치, 스타일, 직원 및 기술과 같은 7가지 주요 내부 요소를 조사하여 회사의 조직 디자인을 분석하여 조직이 효과적으로 정렬되어 있는지 확인하고 목표를 달성할 수 있도록 하는 분석도구입니다. 맥킨지 7s 모델은 Richard Pascale과 Anthony G. Athos의 도움을 받아 McKinsey 컨설턴트 Tom Peters, Robert Waterman 및 Julien Philips가 1980년대에 개발하였습니다. 이후 이 모델은 학자 및 실무자가 널리 사용하게 되었으며, 가장 인기있는 전략 계획 도구 중 하나가 되었습니다. 이것은 조직 성과 향상의 열쇠로서, 자본, 인프라 및 장비의 전통적인 .. 상식시리즈/경영전략 2018. 10. 21.
BCG매트릭스(BCG growth-share matrix) - 사업포트폴리오 분석기법 BCG매트릭스(BCG growth-share matrix) - 사업포트폴리오 분석기법기업의 브랜드 포트폴리오나 SBU를 상대 시장 점유율 축과 시장 성장 속도 축을 따라 사분면에 묘사하는데 사용되는 분석도구 입니다. 성장 공유 매트릭스는 상대적인 시장점유율 및 산업성장률 요소를 사용하여 비즈니스 브랜드 포트폴리오의 잠재력을 평가하고 추가 투자 전략을 제안하는 비즈니스 TOOL 입니다. BCG매트릭스는 Boston Consulting Group이 비즈니스 브랜드 포트폴리오의 전략적 위치와 잠재력을 평가하기 위해 만든 프레임워크 입니다. 비즈니스 포트폴리오는 산업매력(그 산업의 성장률)과 경쟁적 위치(상대 시장 점유율)에 따라 4가지 범주로 분류됩니다. 이 2가지 차원은 해당 단위와 현금이 생성되는 것을 지.. 상식시리즈/경영전략 2018. 10. 20.
가치사슬분석 (Value Chain Analysis) - 내부자원을 분석한 기법 가치사슬분석 (Value Chain Analysis) - 내부자원을 분석한 기법 이것은 회사가 최종 제품에 가치를 더 한 다음 이러한 활동을 분석하여 비용을 줄이거나 차별화를 늘리는 주요 지원활동을 식별하는 프로세스 입니다. 기업은 여러 활동이 사슬처럼 엮여서 고객에게 다양한 가치를 제공하게 되는데 그중 직접적으로 가치를 창출하는 활동을 본원적활동이라 하고, 본원적 활동이 가능하도록 지원해주는 활동을 지원활동이라 합니다. 기업을 개별 활동으로 나누어서 각 활동들이 창출하는 가치와 비용을 분석하면 각 활동들이 어떤 식으로 기업에 공헌을 하는지를 알수가 있는데 그 점을 파악해서 경쟁우위의 전략을 수립하는 것이 마이클포터 교수가 고안한 가치사슬(VCA) 입니다. 가치사슬분석(VCA)에 대한 이해 VCA는 기업.. 상식시리즈/경영전략 2018. 10. 19.
5 Forces Model - 포터의 산업구조분석 이것은 산업의 구조를 분석하기 위한 모델로, 산업의 기회를 예측하고 경쟁제약을 통제하기 위한 방법으로 공급자, 고객, 잠재적 시장진입자, 대체재 및 산업 내 경쟁자라는 5가지 관점에서 산업구조와 시장매력도를 분석해서 전략을 세우는 분석툴입니다. 이 모델은 1979년 마이클포터(Michael E. Proter)에 의해 5가지 주요 경쟁세력이 산업에 어떻게 영향을 미치는지를 이해하기 위해 만들어졌습니다. 산업 내에서의 경쟁에서 살아남으려면 경쟁이 심하지 않고 매력적인 업계(시장)을 선택해 유리한 위치를 선점하는 것이 매우 중요한데 산업에 작용하는 압력 5가지를 경쟁요인으로 표현한 것이 바로 5F 모델입니다. 5 Forces Model - 포터의 산업구조분석 산업구조분석 (5F, Five Forecs Mode.. 상식시리즈/경영전략 2018. 10. 18.
VRIO분석 - 브리오, 내부자원의 경쟁력을 분석하는 툴 VRIO분석 - 브리오, 내부자원의 경쟁력을 분석하는 툴경쟁우위의 원천을 이해하기 위해 기업들은 외부환경 및 내부환경을 분석하기 위해 많은 분석툴들을 사용하고 있습니다. 기업의 내부자원을 분석하는 도구 중 하나는 VRIO분석입니다. 기업이 경쟁우위를 확보할 수 있느냐는 그들이 보유한 자원과 그것을 활용할 수 있는 능력에 달려있는데 이러한 자원 기반 관점의 이론을 분석한 tool이 바로 브리오분석입니다. 이 툴은 원래 제이 B. 바니(Jay B. Barney)가 자신의 작품 '완벽한 자원과 지속된 경쟁우위' 에서 개발한 것입니다. 여기서 저자는 지속적인 경쟁우위의 원천이 되기 위해서는 회사의 자원이 소유해야 하는 4가지 속성을 확인을 했고, 그것은 자원은 가치있고, 희귀하며, 불완전하게 모방가능하고, 대체.. 상식시리즈/경영전략 2018. 10. 1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