작심삼일 끝! 만다라트 계획표로 실행력 200% 높이기!
"목표를 세우지만 작심삼일이 고민이라면?"
새해가 되면 사람들은 저마다 목표를 세웁니다. 영어공부, 운동, 자격증 취득, 독서… 하지만 몇 주만 지나면 계획은 흐지부지되기 일쑤입니다. 왜 그럴까요? 목표를 세우는 것 자체는 어렵지 않지만, 그것을 구체적으로 시각화하고 지속적으로 관리하는 방법을 모르기 때문입니다.
이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등장한 것이 "만다라트 계획표"입니다. 단순한 할 일 목록(To-Do List)과 달리, 목표를 체계적으로 쪼개어 한눈에 보기 쉽게 정리하는 시각적 사고도구입니다. 쉽게 말해, 목표를 머릿속에만 두는 것이 아니라 종이나 화면 위에 구조적으로 펼쳐서 보는 방식이죠.
이 방법을 활용해 성공한 대표적인 인물이 있습니다. 바로 메이저리거 오타니 쇼헤이입니다. 그는 고등학생 시절, 프로 선수로 성장하기 위해 만다라트 계획표를 작성했고, 그 결과 세계적인 선수로 자리 잡았습니다. 그렇다면, 우리도 이를 활용해 목표 달성 확률을 높일 수 있지 않을까요?
이제부터 만다라트 계획표란 무엇인지, 어떻게 작성하고 활용할 수 있는지 차근차근 알아보겠습니다.
만다라트 계획표란?
목표를 세우는 것과 실제로 이루는 것은 전혀 다른 문제입니다. "운동해야지!" 하고 결심하는 것과 매주 3번씩 헬스장에 가는 것은 큰 차이가 있죠. 막연한 목표는 쉽게 잊히고, 방향을 잃어버리기 쉽습니다.
여기서 등장하는 것이 만다라트 계획표입니다. 이건 단순한 체크리스트가 아닙니다. 목표를 체계적으로 쪼개어 한눈에 보이도록 정리하는 시각적 도구입니다. 쉽게 말해, 목표를 머릿속에 두는 것이 아니라 '지도'처럼 펼쳐서 볼 수 있도록 만드는 방법이죠.
✅ 3×3 프레임의 기본구조
✔️ 가운데 1칸: 가장 중요한 핵심목표 → Goal
✔️ 주변 8칸: 그 목표를 이루기 위해 필요한 세부목표 → A~H
✅ 확장된 만다라트 표
✔️ 주변 8칸을 각각 3x3 만다라트 표로 확장
✔️ 8개 x 9칸 = 72칸 (세부목표 64개 + 기존 8개 유지) → a~h
이 프레임을 더 확장하면, 주변 8칸이 다시 각각 9칸짜리 표의 중심이 되어 총 64개의 세부목표로 발전할 수도 있습니다. 이를 통해 목표를 더 구체적으로 만들고, 실행할 수 있는 단계로 정리할 수 있습니다. 이처럼 큰 목표를 작은 조각으로 나누고, 단계별 실행계획을 시각적으로 정리할 수 있다는 점이 만다라트 계획표의 가장 큰 특징입니다.
✔ 관련글 읽어보기: PDCA 사이클로 업무효율 2배 올리는 비결
만다라트 계획표의 핵심원리
"목표를 종이에 적으면 이루어진다." 이런 말, 한 번쯤 들어보셨을 겁니다. 실제로 심리학 연구에서도 목표를 구체적으로 적고 시각화하면 실행확률이 훨씬 높아진다고 합니다. 그리고 만다라트 계획표는 바로 이 원리를 극대화한 도구입니다.
✅ 만다라트(Mandalart)란?
만다라트(Mandalart)는 일본에서 개발된 목표설정 및 문제해결을 위한 시각적 도구입니다. 불교에서 유래한 "만다라(Mandala)"의 개념을 기반으로 만들어졌으며, 목표를 중심으로 두고 여러가지 요소를 연결하여 단계적으로 확장하는 방식을 사용합니다.
이 방법을 활용한 것이 바로 만다라 차트(Mandala Chart) 또는 만다라트 계획표입니다. 즉, 만다라트라는 개념이 있고, 이를 실천하기 위해 구체적인 차트형태로 정리한 것이 만다라트 계획표라고 할 수 있습니다.
✅ 만다라트 계획표의 핵심원리: 목표를 쪼개라!
많은 사람들이 "큰 목표"를 세우지만, 정작 어디서부터 시작해야 할지 몰라서 포기합니다. 예를들어, "영어 잘하기"라는 목표를 세웠다고 가정해 봅시다. 막연하게 "영어 공부해야지"라고 생각하면 뭐부터 해야 할지 몰라서 금방 흐지부지됩니다.
하지만 만다라트 계획표를 사용하면?
중앙에 "영어정복"을 적고, 주변 8칸에 "단어 암기", "리스닝 연습", "원서 읽기", "영어 회화", "문법 정리", "영어 유튜브 시청", "매일 영어 일기 쓰기", "스터디 그룹 참여" 같은 세부목표를 넣을 수 있습니다. 이렇게 하면 해야 할 일이 명확해지고, 실천 계획이 한눈에 들어오기 때문에 실행력이 높아집니다.
✔ 관련글 읽어보기: 5Why 분석법 완벽정리, 도요타가 인정한 문제해결 공식
만다라트 계획표의 장점
만다라트 계획표는 단순히 목표를 정리하는 도구가 아닙니다. 실제로 목표를 달성할 수 있도록 도와주는 강력한 시스템입니다. 그렇다면, 이 방식이 어떤 점에서 효과적일까요?
1. 목표가 명확해진다
막연한 목표는 흐지부지되기 쉽습니다. 예를들어, "프로그래밍 배우기"라는 목표를 세웠다고 해봅시다. 그냥 마음속으로 다짐하면 "어디서부터 시작해야 하지?" 하다가 포기할 수도 있습니다.
하지만 만다라트 계획표를 사용하면?
✔️ 중앙 칸: "프로그래밍 배우기"
✔️ 주변 8칸: "기초 문법 익히기", "간단한 프로젝트 만들기", "온라인 강의 듣기", "매일 1시간씩 연습하기" 등
✔️ 각 세부 목표를 다시 세분화하면 구체적인 실행 계획이 생김
이렇게 하면 목표가 한눈에 보이고, 무엇을 해야 하는지 명확해집니다.
2. 계획을 실천하기 쉬워진다
목표가 세분화되면 실행이 쉬워집니다.
"건강해지고 싶다"라는 막연한 목표보다 "매일 아침 10분 스트레칭하기" 같은 구체적인 목표가 더 실천하기 쉽습니다.
만다라트 계획표는 목표를 자연스럽게 작은 단계로 쪼개주기 때문에
✔️ 어디서부터 시작할지 고민할 필요가 없습니다.
✔️ 해야 할 일을 한눈에 확인할 수 있어 효율적입니다.
3. 동기부여가 지속된다
목표를 세우는 것보다 더 어려운 건 꾸준히 실천하는 것입니다.
하지만 만다라트 계획표를 보면 지금까지 이룬 것과 앞으로 해야 할 일이 시각적으로 정리되어 있기 때문에 동기부여가 지속됩니다.
✔️ 한 칸씩 채워나가는 재미가 있다.
✔️ 달성한 목표를 볼 때 성취감을 느낀다.
✔️ 해야 할 일이 구체적이어서 미루지 않게 된다.
4. 유연하게 수정할 수 있다
목표는 상황에 따라 바뀔 수 있습니다.
예를 들어, "3개월 안에 유튜브 1,000명 구독자 달성"을 목표로 했는데 예상보다 반응이 적다면,
👉 "유튜브 영상 퀄리티 개선"
👉 "SNS를 활용한 홍보 전략 추가"
이런 식으로 목표를 유연하게 수정할 수 있습니다.
즉, 만다라트 계획표는 변화에 따라 계속 업데이트할 수 있는 ‘살아있는 계획표’입니다.
이처럼 명확한 목표설정, 쉬운 실행계획, 지속적인 동기부여, 유연한 수정 가능성까지 갖춘 만다라트 계획표는
✔️ 자기 계발
✔️ 학습 계획
✔️ 프로젝트 관리
✔️ 팀 목표 설정
등 다양한 분야에서 강력한 도구가 될 수 있습니다. 그럼 이제, 만다라트 계획표를 직접 만드는 방법을 알아보겠습니다.
만다라트 계획표 만드는 법 단계별 가이드
만다라트 계획표는 어렵지 않습니다. 종이와 펜만 있으면 바로 시작할 수 있고, 디지털 도구를 활용하면 더 편리하게 정리할 수도 있습니다. 지금부터 단계별로 쉽게 따라 할 수 있도록 가이드를 제공해 드리겠습니다.
1단계: 기본 틀 만들기
✅ 만다라트 계획표의 기본구조는 3×3 그리드(총 9칸)입니다.
✔ A4용지나 노트에 3×3 격자를 그리거나, 엑셀·구글 스프레드시트·노션 같은 디지털 도구를 활용해도 좋습니다.
✔ 앱을 사용하고 싶다면 Lucidspark, Canva, Milanote 같은 다이어그램 도구도 추천합니다.
2단계: 핵심목표 정하기
✅ 가운데 칸(핵심 칸)에 가장 중요한 목표를 적습니다.
예시) "나만의 블로그 운영하기"
이때, 너무 막연하거나 추상적인 목표는 피하는 것이 좋습니다. "성공하기", "행복해지기" 같은 목표보다는,
✔ "3개월 안에 블로그에 글 20개 쓰기"
✔ "매주 2개씩 포스팅하기"
이처럼 구체적으로 적어야 실행력이 높아집니다.
3단계: 핵심목표를 이루기 위한 8가지 요소 작성
✅ 중심목표를 이루기 위해 필요한 8가지 주요요소를 주변 8칸에 적습니다.
예를 들어 "나만의 블로그 운영하기" 목표라면?
블로그 주제 선정 | 정상적인 글쓰기 | 독창적인 스타일 구축 |
SEO 최적화 | 나만의 블로그 운영하기 | SNS 홍보 |
방문자 데이터 분석 | 사진·이미지 활용 | 콘텐츠 기회 |
✔ 이 단계에서 너무 세부적인 내용까지 고민하지 말고, 핵심적인 요소들만 적어도 됩니다.
4단계: 각 요소를 다시 세부목표로 확장
✅ 이제, 주변 8칸을 다시 각각 9칸짜리 표로 만들어 더 세부적인 목표를 정리합니다.
예를 들어 "정상적인 글쓰기"을 세부적으로 쪼개면?
하루 500자 쓰기 | 유명 블로거 글 분석 | 문법 교정 연습 |
필사 연습 | 정상적인 글쓰기 | 기승전결 구조 연습 |
블로그 글 주제 정리 | 짧고 명확한 문장 쓰기 | 매주 1개 글 업로드 |
✔ 이렇게 하면 해야 할 일이 명확해지고, 실행 계획이 체계적으로 정리됩니다.
5단계: 컬러·디자인 추가 (선택사항)
✅ 시각적으로 보기 쉽게 정리하면 더 직관적으로 목표를 관리할 수 있습니다.
✔ 중요도에 따라 색을 다르게 표시하기
✔ 완료한 항목에 ☑️ 체크 표시하기
✔ 아이콘, 그림, 그래프 추가하기
6단계: 실행 & 지속적인 업데이트
✔ 매일 또는 매주 한 번씩 계획표를 점검하고 수정하세요.
✔ 달성한 목표는 체크하고, 필요하면 새로운 목표를 추가하세요.
💡 TIP:
◼️ 너무 완벽하게 계획하려고 하지 마세요. 처음에는 간단하게 시작해서 점점 발전시키면 됩니다.
◼️ 작은 목표라도 하나씩 달성하면서 성취감을 느끼는 것이 중요합니다.
◼️ 유연하게 수정하고 보완하면서 계속 발전시키세요.
이제 만다라트 계획표를 직접 만들어볼 준비가 되셨나요? 다음으로, 이 계획표를 효율적으로 활용하는 팁을 알려드리겠습니다!
만다라트 계획표를 효과적으로 활용하는 팁
만다라트 계획표를 만들었다고 해서 자동으로 목표가 달성되는 것은 아닙니다. 중요한 것은 꾸준히 실천하고, 지속적으로 관리하는 것입니다. 그렇다면, 이 계획표를 더 효과적으로 활용하는 방법은 무엇일까요?
1. 너무 완벽하게 계획하려고 하지 말 것
많은 사람들이 계획을 세우다 보면 너무 꼼꼼하게 작성하려다가 정작 실천을 못 하는 경우가 많습니다.
✅ 처음부터 완벽하게 채울 필요 없습니다.
✅ 일단 핵심 목표를 설정하고, 점점 추가하면서 발전시키면 됩니다.
✔ 잘못된 예: "모든 칸을 완벽하게 채워야 시작할 수 있어!"
✔ 올바른 예: "지금 당장 실천할 수 있는 것부터 적고, 점점 보완해 나가자."
2. 목표는 작게 나누고, 실행 가능한 단위로 설정할 것
"영어 잘하기", "유튜브 시작하기" 같은 목표는 너무 크고 막연합니다.
👉 "하루에 단어 10개 암기하기", "매주 유튜브 영상 1개 업로드하기"처럼 실행 가능한 단위로 쪼개는 것이 중요합니다.
✔ 잘못된 예: "책 100권 읽기"
✔ 올바른 예: "하루 10페이지 읽기"
3. 목표를 눈에 잘 보이는 곳에 둘 것
계획표를 만들고 나서 서랍 속에 넣어두면 의미가 없습니다.
✅ 책상 위, 벽, 스마트폰 배경화면 등 항상 볼 수 있는 곳에 배치하세요.
✅ 디지털 도구를 활용하면 더욱 편리하게 관리할 수 있습니다.
✔ 추천 앱: Notion, Trello, Google Keep, Evernote 등
4. 정기적으로 리뷰하고 수정할 것
목표는 상황에 따라 바뀔 수 있습니다.
👉 "매일 1시간 운동하기"를 계획했지만, 현실적으로 어려우면 "주 3회 30분 운동"으로 조정하는 것이 좋습니다.
✅ 매주 한 번씩 계획표를 보며 진행 상황을 체크하세요.
✅ 달성한 목표는 ✅ 표시하거나 색칠하면서 성취감을 느껴보세요!
5. 동기부여 요소를 추가할 것
목표를 달성했을 때 보상을 설정하면 더 효과적입니다.
✔ "한 달 동안 계획대로 운동하면 좋아하는 카페에서 디저트 먹기!"
✔ "블로그 글 10개 작성하면 새로운 키보드 사기!"
✅ 자신을 위한 작은 보상을 설정하면 동기부여가 더욱 강해집니다.
이제 만다라트 계획표를 더 효과적으로 활용하는 방법까지 알아보았습니다!
✔ 이제 남은 것은 직접 실천해 보는 것!
✔ 작은 것부터 하나씩 실행하며 변화를 만들어 보세요.
어떤 목표든 시각적으로 정리하고, 꾸준히 실천하면 반드시 달성할 수 있습니다.
'상식시리즈 > 경영전략' 카테고리의 다른 글
MBO 활용법! 성공하는 조직이 꼭 쓰는 목표관리 기법 (0) | 2025.02.09 |
---|---|
OKR 완벽 가이드, 성과 100% 달성하는 목표관리 방법 (0) | 2025.02.08 |
As-Is To-Be의 차이를 극복하는 법! Gap 분석 실전 가이드 (0) | 2025.02.07 |
5Why 분석법 완벽정리! 도요타가 인정한 문제해결 공식 (0) | 2025.02.06 |
특성요인도 100% 활용법, 문제의 원인을 도식화 피쉬본 다이어그램 (0) | 2025.02.06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