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책 Etc.107 변화를 가로막는 26가지 고정관념과 말 [ 변화를 가로막는 26가지 고정관념과 말 ] 사람이 계획대로 살수만 있다면 얼마나 좋을까요? 하루 하루 약속을 잡아놓고, 시간 관리도 딱 정해진 날짜에 맞춰놓고, 누구를 만나고 어떤 일을 처리하는 것까지 모든것이 계획대로만 살수있다면 얼마나 좋을까요? 그런 일이 일어나는 것은 정말 꿈같은 일일겁니다. 계획대로 살수 없기 때문에 사람이 살아갈수 있는 것은 아닐까요? 오늘은 조금 저만의 푸념섞인 말들을 해보고자합니다. 무기력해진 요즘 새로운 일을 찾는다는 것이 결코 쉽지만은 않은 일이라는 생각이 듭니다. 예전같은 무언의 열정이 잘 생겨나지 않는군요.. 감정기복이 심해진 이때 블로그에서라도 풀지 않으면 곪아질것 같습니다. 페이스북에 제가 정리한 내용을 잠깐 소개하자면요.. 꿈.. 너무 진부해졌다강연.. 별로.. 정책 Etc./유용한 정보 2013. 8. 29. 더보기 ›› UN(국제연합) 조직시스템 및 국제기구 종류 UN(국제연합)의 조직시스템은 크게 총회, 안전보장이사회(안보리), 경제사회이사회, 신탁통치이사회, 국제사법재판소, 사무국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전문기구(and 독립기구)와 보조기구로 나눌수 있다. 1. 유엔총회(General Assembly) 1) 산하기관(Subsidiary Bodies)- 주요위원회(Main Committees)- 인원이사회(Human Rights Council)- 기타 회기별 위원회(other sessional committees)- 상설 및 임시위원회(Standing Committees and ad hoc bodies)- 기타 산하기관(Other subsidiary organs) 2) 자문기관(Advisory Subsidiary Bodies)- 유엔평화구축위원회(UN PBC: .. 정책 Etc./유용한 정보 2013. 2. 22. 더보기 ›› 해외봉사 주요 단체 모음 (대학생 해외자원봉사) 대학생활을 하면서 기억에 남을만한 추억거리 중 하나가 봉사활동이 아닌가 싶습니다. 그중에서도 단기 해외자원봉사활동을 많이들 가는것 같네요.. 기업체 후원을 받아 전액 무료로 가는 곳도 있고, 개인이 전액 지불하면서도 가는 곳도 있습니다. 봉사활동 내용은 주로 교육이나 노력(시설), 기타 등등이 있을수 있겠네요.. 거의가 비슷한 유형으로 봉사활동을 합니다. 저도 어느 단체를 통해 해외봉사활동을 다녀온 적이 있습니다. 나름 추억도 만들고 보고 배운게 많아 좋은 경험이 되었지요.. 저는 개인적으로 나눔은 관심이라 생각합니다. 자기가 원해서 선택을 하고 어떤 활동이든간에 시간을 투자할 생각이 있기 때문에 지원을 하는 것인데,,, 사람을 가려뽑는 행태가 마음에 안듭니다. 물론 지원자가 많고 해당 단체에서 원하는 .. 정책 Etc./교육정책 2012. 12. 28. 더보기 ›› 대학생 외부장학금, 장학재단 정보 [업데이트 일자: 2012.03.13일] 태어나 처음으로 학교에서 주는 장학금을 받았습니다.수업료의 20% 였지만 꽤 큰 금액이었는지, 도움이 많이 되었답니다. 우연찮게 장학금에 대해 호기심이 생겨 한번 검색을 해보았습니다. 소속 학교에서 주는 장학금 말고도 외부 단체에서 주는 장학금도 꽤나 여러군데 있더군요.. 한국장학재단에서 "장학정보검색"을 하니 장학금 주는 곳이 많다는걸 알았습니다. 근데 해당 관련 기관으로 링크 기능이 없는 것이 조금 아쉽게만 느껴졌는데 이참에 한번 엑셀로 정리를 해보았답니다. 제가 정리한 곳만 해도 외부장학금을 받을수 있는 곳이 119곳이나 되더군요.. 주로 인터넷 사이트가 잘 구축이 되어있고, 정보 공개가 잘되어 있는곳으로 정리를 해보았습니다. 정부나 민간기업에서 주는 장학금.. 정책 Etc./교육정책 2012. 12. 1. 더보기 ›› 생각의 사칙연산, 고민해결방법 [ 생각의 사칙연산, 고민해결방법 ] 초등학교 교육을 받은 분들이라면 사칙연산에 대해 아실겁니다. 즉 덧셈, 뺄셈, 곱셈, 나눗셈을 이야기 하는데요.. 이것들은 계산할 때 우선순위가 있다고 합니다. 수식의 계산은 왼쪽에서 오른쪽으로 차례대로 하되, 괄호를 우선으로 하고 곱셈과 나눗셈을 덧셈과 뺄셈보다 먼저하게 되어있습니다. 222+2*2의 경우 곱셈을 먼저 하니까 2*2=4를 구한 다음, 222에 그 결과를 더하여 226이 됩니다. 단순히 연산의 우선 순위없이 차례대로 계산을 한다면, 222+2=224를 먼저 구하고, 그 결과에 다시 2를 곱하여 448이 됩니다. 연산의 우선순위가 달라지면, 계산 결과도 달라집니다. 갑자기 왜 사칙연산을 이야기 했는지 궁금하시죠? 우리 인생에도 사칙연산을 이용한 고민해결.. 정책 Etc./유용한 정보 2012. 3. 5. 더보기 ›› 잊을수 없는 자기소개 [ 잊을수 없는 자기소개 ] 처음본 사람들 앞에서 나를 소개하는 것은 결코 쉬운 일이 아닐겁니다. 특히 면접이라는 것을 볼때는 더욱 그렇지요. 짧은 시간안에 나를 표현하고, 이목을 집중시킬수 있는 말을 하는것은 사람들 앞에서 말을 많이 해본 경험이 없지 않는한 어려운 일입니다. 면접을 볼때 항상 듣는 말이 있습니다. 긴장하지 말고 편하게 하라고 말이죠.. 어떻게 긴장을 안할수가 있나요? 앞에서 평가하는 사람들이 쳐다보고 있는데 말이죠.. 한마디로 웃긴 이야기 입니다. 하지만 그런 자리라도 자신감 있게 이야기 할수 있는 방법은 있을겁니다. 소위 "취업동아리"라고 면접에 대해 토의하고 모의 면접도 하면서 대비를 하는것이지요.. 하나의 좋은 방법일수도 있습니다. 아니면 역시 대본처럼 말을 준비하는거 겠지요.... 정책 Etc./유용한 정보 2012. 1. 15. 더보기 ›› 업(業)의 개념과 취업의 관계 [ 업(業)의 개념과 취업의 관계 ] 작년 11월달에 "마이크임팩트"라는 곳에서 "기업가 멘토스쿨 3기" 강의를 들었습니다. 현재 벤처기업을 운영하고 계시는 분들이 직접 강사로 나와 자신만의 노하우, 사람관리, 운영비법등을 들려주는 자리였는데요... 그곳에 강연을 들으러 오시는 분들은 거의가 벤처기업을 창업하신분과 할려고 하는 분들이었습니다. 저도 사회적기업을 목표로 하고 있기에 관심이 많았는데요. 문득 이런 생각이 들었습니다. "나는 내가 하려는 것에 대한 업의 개념을 파악하고 있나?" 경영자가 사업을 잘하기 위해서는 가장 먼저 '우리의 사업은 무엇인가?'라는 질문에 답할수 있어야 한다고 합니다. 수많은 기업인과 자영업자들이 고민하는 것은 '내 제품과 서비스는 훌륭한데 왜 매출이 안나는지?'일겁니다. .. 정책 Etc./유용한 정보 2012. 1. 5. 더보기 ›› 알면서도 실천하지 않는 기업문화 -NATO현상- [ 알면서도 실천하지 않는 기업문화 -NATO현상- ] NATO 현상이라고 들어보셨는지요? 경영자들이 사업혁신 방법을 모르고 있어서? 값비싼 비용을 들여 컨설팅까지 받았는데도 왜 하나도 변하지 않는 것일까요? 아래에 짧은 이야기를 잠시 읽어 보도록 하겠습니다. 아마 생소하실것 같은데요. NATO란 No Action, Talk Only의 준말이라고 합니다. 해석을 하자면 '말만 하고 제대로 행동을 하지 않는다'라는 뜻입니다. 특히 기업경영에서 많이 볼수 있는 현상인데요.. 문제제기만 하고 정작 그 문제를 해결하려는 노력을 보이지 않는 기업문화를 일컬어 NATO현상 이라고 하지요.. 그렇다면 왜 아는것을 실천하지 못할까요? " 나는 거의 매일 어두운 회의실에서 프로젝터 빔이 비치는 스크리을 보면서 시간을 보.. 정책 Etc./유용한 정보 2012. 1. 4. 더보기 ›› 신념은 기적을 만든다 - 월트디즈니 이야기 - 꿈을 이루려는 사람들은 어떤 마음가짐으로 살아갈까요? 험난하고 힘든 과정속에서도 자신의 꿈을 위해 정진하는 사람은 결국엔 자신이 원하는 것을 얻는 다고 생각하는데요,, 그 과정에서 어떤 마음을 가지는 걸까요? 열정만 있다고 해서 꿈이 다 이루어지는건 아닌것 같고,, 노력을 많이 한다고 해서 꿈이 이루어지는것도 아닌것 같고,, 신념... 꿈을 꾸는 사람들은 각자 자신이 가지고 있는 신념이 있다고 생각합니다. 자기 자신을 믿는 마음이 굳건하기 때문에 자기가 원하는 걸 이루려는 마음도 더 강한것 아닐까요? 그것이 열정으로 나타나고, 노력해서 결과로까지 이어지는,,, 분명 꿈을 이루기 위해서는 나 혼자만의 강한 믿음만 있다고해서는 부족할겁니다. 주위 환경도 도움을 받아야겠죠.. 그리고 그 환경에 강한 저항도 받.. 정책 Etc./유용한 정보 2012. 1. 3. 더보기 ›› 동물에게서 배우는 혁신의 지혜 7가지 (변화와 혁신의 차이) 혁신이라는 말과 함께 더불어 자주 쓰이는 것이 변화입니다. 이 두가지 용어는 함께 혼용되어 쓰이는 경우도 적지 않지만 기본적으로는 상호연관을 미치면서 서로가 다르게 쓰이기도 합니다. 변화와 혁신의 차이점은 변화를 혁신보다 더 큰 개념으로 보는 견해입니다. 변화와 혁신을 수로(水路)에 비유하자면 변화는 일정한 흐름으로 물이 지속적으로 흐르도록 "통제"(Control)하는 것이라면 혁신은 수로를 "돌리고 바꾸는 것"(Channel) 으로 볼수 있습니다. 즉, 변화가 조직의 문화나 비전, 사명과 같은 보다 본질적이고 미래에 대한 것이라면, 혁신은 원가를 절감한다든지, 인력을 감소시킨다든지 하는 가시적인 활동을 일컫습니다. 자기혁신이라는 말이 있지요? 이 말의 의미는 "획기적인 방법을 통하여 자기자신을 긍정적으.. 정책 Etc./유용한 정보 2012. 1. 2. 더보기 ›› 이전 1 ··· 7 8 9 10 11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