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책 Etc./노동정책13 퇴직금 지급기한 및 계산방법 알아봅시다 회사를 퇴사를 하게 되면 퇴지금이라는 것을 받게 됩니다. 이것은 법으로 정해놓은 것으로 직장인 이라면 누구라도 받아야 하는 정당한 금액입니다. 우리나라에는 퇴직급여제도라는 것이 있는데 이 법은 [근로자퇴직급여 보장법]에 의해서 보호를 받는 것으로 크게 2가지가 존재합니다. 하나는 퇴직금제도이고, 또다른 하나는 퇴직연금제도입니다. 오늘 이 시간에는 간략하게 이부분에 대해서 알아보고자 합니다. 퇴직급여제도란 [근로자퇴직급여 보장법]에 따라 퇴직금제도와 퇴직연금제도를 말하는 것으로 퇴직금제도는 사용자가 계속근로기간 1년에 대해 30일분 이상의 평균임금을 퇴직금으로 퇴직하는 근로자에게 지급하는 제도를 말하고, 퇴직연금제도는 사용자가 근로자의 재직기간 중 퇴직금 지급재원을 외부의 금융기관에 적립하고, 이를 사용자.. 정책 Etc./노동정책 2016. 12. 27. 더보기 ›› 2016년 최저임금에 대한 내용들 최근 내년도 최저임금결정에 대한 내용을 뉴스에서 종종 보곤 합니다. 과연 얼마나 올랐을까? 궁금하여 찾아보니 아주 쬐금 올랐더군요. 역시나 사용자측의 입김이 아직까지는 대한민국에서 세다는 것을 느낄수 있습니다. 지난 15일 새벽을 기점으로 최저임금위원회는 내년 최저임금을 올해 6,030원보다 7.3%(440원) 오른 6,470원으로 결정을 했습니다. 노동계측에서는 줄곧 1만원을 제시했지만 이는 받아들여지지 않았습니다. 이것과 관련해서 제가 한번 자료를 찾아보았습니다. 과연 최저임금이라는 것이 누구에 의해서 결정이되고, 어떤 법률에 근거해서 만들어지게 되는지 꼼꼼하게 한번 살펴보았습니다. 1. 최저임금위원회에서 하는 일은? 우리나라에는 최저임금위원회라고 있습니다. 여기서 하는 일은 최저임금에 관한 심의와 .. 정책 Etc./노동정책 2016. 7. 28. 더보기 ›› 7포세대와 청년실업률에 대해서 대학을 나와도 취업이 안되는 학생들의 수가 점차적으로 늘어나고, 그로인해 사회적문제가 계속해서 야기되고 있습니다. 더욱이 청년층뿐만 아니라 중장년층까지 고용이 불안정해지고 있어 갈수록 취업난은 가속화되지 않을까 싶습니다.이러한 현실을 반영하듯 새롭게 등장하는 신조어들은 우리사회의 암울한 모습을 대변해주고 있는것 같습니다. 아무리 노력해도 뜻대로 되지 않는 현실이 막막하기만 한데요.이러한 청년실업의 현실을 대변하듯이 헬조선이니 수저계급론이니 하는 말들을 들을때면 씁쓸함을 감출수 없습니다. 사회가 각박해지고, 노동에 대한 임금격차가 심화될 수록 사람간의 정이 느껴지는 사회는 점차적으로 멀어질 수밖에 없습니다. 수저계급론은 부모의 힘과 배경등이 2세에게 대물림되는 것을 뜻하는 말로써 흔히들 금수저를 물고 태어.. 정책 Etc./노동정책 2016. 3. 8. 더보기 ›› 이전 1 2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