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주휴수당 이란? 지급조건, 계산법 완벽 정리!

담덕MBA 2025. 3. 14.

우리나라에는 근로자를 보호하기 위한 다양한 제도가 존재하는데요. 그중에서도 많은 사람들이 궁금해하는 것이 바로 주휴수당입니다.

 

알바생, 직장인 모두에게 중요한 개념이지만, 제대로 알고 있는 사람은 생각보다 많지 않죠. 이번 글에서는 주휴수당이란 무엇이며, 지급조건, 그리고 계산법까지 쉽게 정리해보겠습니다! 

 

 

주휴수당 이란?

주휴수당은 1주 동안 성실하게 근무한 근로자에게 주어지는 유급휴일 수당을 의미합니다. 쉽게 말해, 일정 요건을 충족하면 일하지 않아도 하루치 임금을 받을 수 있는 것이죠. 

 

 

이는 근로기준법 제55조(휴일)에서 보장된 권리이며, 사용자(고용주)는 이를 반드시 지급해야 합니다. 이 제도의 취지는 근로자의 건강과 휴식을 보장하고, 안정적인 근로 환경을 조성하는 것입니다. 따라서 모든 사업장에서 적용되며, 근로형태(정규직, 계약직, 아르바이트)에 관계없이 일정 요건만 충족하면 받을 수 있습니다. 

 

 


주휴수당 지급조건은 어떻게 되나?

주휴수당을 받기 위해서는 두 가지 필수 조건을 충족해야 합니다.

 

 

주휴수당 지급조건 ① 1주일 동안 소정 근로일을 개근해야 함 

✔️ 근로계약서에 정해진 소정 근로일(근무하기로 약속한 날)을 빠짐없이 출근해야 합니다.

✔️ 지각, 조퇴는 문제가 되지 않지만, 결근하면 주휴수당을 받을 수 없습니다.

 

📌 예시1: 주휴수당을 받을 수 있는 경우

⭕ 월~금(주 5일) 하루 8시간 근무 → 모두 출근함 → 주휴수당 지급!

⭕ 화,목,토(주 3일) 하루 5시간 근무 → 모두 출근함 → 주휴수당 지급!

 

📌 예시2: 주휴수당을 받을 수 없는 경우

❌ 월~금 근무인데 수요일에 결근 → 주휴수당 지급 안 됨.

❌ 화,목,토 근무인데 토요일에 결근 → 주휴수당 지급 안 됨.

 

 

주휴수당 지급조건 ② 1주 동안 근로시간이 15시간 이상이어야 함

✔️ 주 15시간 이상 근무한 근로자만 주휴수당을 받을 수 있습니다.

✔️ 예를 들어, 하루 3시간씩 주 5일 근무(총 15시간)한 경우에는 주휴수당 지급 대상이 됩니다.

✔️ 반대로, 주 14시간 이하로 근무했다면 주휴수당 지급 대상이 아닙니다.

 

📌 예시1: 주휴수당을 받을 수 있는 경우

⭕ 주 5일, 하루 4시간 근무 → 주 20시간

⭕ 주 3일, 하루 6시간 근무 → 주 18시간

 

📌 예시2: 주휴수당을 받을 수 없는 경우

❌ 주 3일, 하루 4시간 근무 → 주 12시간

❌ 주 2일, 하루 6시간 근무 → 주 12시간

 

이 두 가지 요건을 충족하면, 고용주는 반드시 주휴수당을 지급해야 합니다. 단, 지각이나 조퇴는 개근으로 인정될 수 있습니다. 출근은 했지만 늦게 오거나 빨리 퇴근한 경우, 일정 기준을 충족하면 주휴수당 받을 수도 있습니다.

 

 


주휴수당 계산법은 어떻게 하나?

그렇다면, 주휴수당은 어떻게 계산할까요? 공식은 아주 간단합니다.

 

 

✅ 주휴수당 계산법 공식

1️⃣ 1주 소정근로시간이 40시간 이상인 경우 (정규직, 풀타임 알바)

주휴수당 = 1일 소정근로시간 × 시급

 

💡 예제 1: 하루 8시간, 주 5일 근무, 시급 10,000원인 경우

👉 계산: 8시간 × 10,000원 = 80,000원

 

 

2️⃣ 1주 소정근로시간이 40시간 미만인 경우 (파트타임 알바)

주휴수당 = (1주 소정근로시간 ÷ 40시간) × 8시간 × 시급  

 

💡 예제 2: 하루 5시간, 주 3일 근무, 시급 10,000원인 경우

👉 계산: (15시간 ÷ 40시간) × 8시간 × 10,000원

               (0.375) × 8시간 × 10,000원 = 30,000원

 

📌 정리

 

주 근로시간 시급 주휴수당 계산 주휴수당 금액
40시간 이상 10,000원 8시간 × 10,000원 80,000원
24시간 10,000원 (24/40) × 8 × 10,000원 48,000원
15시간 10,000원 (15/40) × 8 × 10,000원 30,000원

 

주휴수당 계산법은 간단하게 주 40시간 이상이면 1일 근무시간 × 시급으로 계산!, 40시간 미만이면 비율(근로시간/40)로 계산! 결근없이 개근하면 받을 수 있습니다.

 

 


주휴수당 관련 자주 묻는 질문 (FAQ)

Q1. 주휴수당을 받지 못하면 어떻게 해야 하나요?

고용주가 주휴수당을 지급하지 않는다면 고용노동부에 신고할 수 있습니다. 특히, 5인 이상 사업장의 경우에는 법적제재를 받을 수 있으니 정당한 권리를 행사하세요! 

 

 

Q2. 주휴수당은 언제 지급되나요?

보통 월급이나 급여지급일에 포함되어 지급됩니다. 하지만 급여일이 따로 정해져 있지 않다면, 주휴일이 속한 주의 마지막 근무일에 지급하는 것이 원칙입니다.

 

Q3. 아르바이트생도 주휴수당을 받을 수 있나요?

네, 받을 수 있습니다! 정규직, 계약직, 아르바이트 모두 동일한 기준으로 적용됩니다. 단, 주 15시간 이상 근무해야 하는 조건을 충족해야 합니다. 

 

 


결론: 주휴수당, 제대로 알고 챙기자!

주휴수당 이란 근로기준법이 보장하는 정당한 권리입니다. 주 15시간 이상 근무하고, 정해진 근무일을 성실히 지켰다면 반드시 받아야 하는 임금입니다. 

 

📌 핵심 요약

◼️ 주휴수당 = 1주 개근 + 주 15시간 이상 근무한 근로자에게 지급

◼️ 계산법: 1일 근로시간 × 시급

◼️ 미지급 시 노동부 신고 가능

 

주휴수당을 몰라서 받지 못하는 경우가 많습니다. 이제 확실히 알고, 내 권리를 제대로 챙겨보세요! 💪

 

 

 

주휴수당 뜻과 지급조건 계산법 안주면 대처법까지 완벽정리

주휴수당은 1주일 동안 15시간 이상 소정의 근로일수를 개근한 근로자에게 지급되는 유급휴일에 대한 수당을 말합니다. 계산법은 본인이 받는 시급에 1일 근로시간을 곱하면 되고, 주휴수당을

mbanote2.tistory.com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