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최저시급 2025 확정! 월급과 연봉 계산법 총정리

담덕MBA 2025. 3. 14.

2025년, 대한민국의 최저시급이 처음으로 1만 원을 돌파하며 10,030원으로 결정되었습니다. 이는 전년도 대비 170원, 즉 1.7% 인상된 금액입니다. 이러한 변화는 근로자들의 생활에 어떤 영향을 미칠까요? 함께 살펴보겠습니다.

 

 

최저시급 2025 확정! 인상의 배경

최저임금 뜻은 근로자의 생활안정을 도모하고, 노동력의 질적 향상을 위해 법으로 정해진 최소한의 임금 수준입니다. 2025년 최저시급이 10,030원으로 인상됨에 따라, 월급으로 환산하면 약 2,096,270원(주 40시간 근무 기준)이 됩니다. ​

 

 

이러한 인상은 근로자들의 가처분 소득을 늘려 소비를 촉진하고, 경제 활성화에 기여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기업 입장에서는 인건비 부담이 증가할 수 있어, 이에 대한 대비가 필요합니다.

 

인상의 배경:

✔️ 물가상승: 생활비가 계속 오르니, 임금도 오를 필요가 있음

✔️ 경제성장률: 경제가 얼마나 성장하는지 보고 결정

✔️ 고용상황: 최저임금을 너무 많이 올리면 일자리가 줄어들 수 있어 신중히 결정

✔️ 자영업자의 부담: 소상공인들이 감당할 수 있는 수준인지도 따져봄.

 

결국, 근로자의 생계를 보장하면서도 사업주의 부담을 최소화하는 적정선으로 역대 두번째로 낮은 수준의 인상률로 인상이 되었습니다. 한간엔 기대했던 만큼 크게 오른건 아니라서 실망하는 목소리도 있습니다.

 

 


2025년 최저시급 월급과 연봉 계산법 

2025년 대한민국 최저시급이 10,030원으로 확정되었습니다. 이는 2024년보다 170원(1.7%) 인상된 금액입니다. 많은 사람들이 이 정보를 찾는 이유는 바로 자신의 급여가 어떻게 달라지는지 확인하기 위해서일 것입니다.

 

 

최저시급이 오르면 실제 월급과 연봉은 얼마나 될까요? 계산해 보겠습니다.

 

✅ 1단계. 2025년 최저시급 확인

✔️ 시간당 10,030원으로 결정되었습니다.

 

✅ 2단계. 주간 근로시간 계산

✔️ 법정 근로시간은 주 40시간입니다.

 

✅ 3단계. 주휴수당 계산

✔️ 주 40시간 근무 시, 1일(8시간)의 유급휴일이 주어집니다.

✔️ 따라서, 주휴수당은 8시간 × 10,030원 = 80,240원 입니다.

 

✅ 4단계. 주간 총 임금 계산

✔️ 소정근로시간 임금: 40시간 × 10,030원 = 401,200원

✔️ 주휴수당: 80,240원

✔️ 주간 총 임금: 401,200원 + 80,240원 = 481,440원

 

 

✅ 5단계. 월간 총 근로시간 계산

✔️ 1년은 52주이며, 이를 12개월로 나누면 약 4.345주가 됩니다.

✔️ 따라서, 월간 총 근로시간은 (40시간 + 8시간) × 4.345주 = 약 209시간입니다.

 

✅ 6단계. 월급 계산

✔️ 월간 총 근로시간: 209시간

✔️ 월급: 209시간 × 10,030원 = 2,096,270원

✔️ 따라서, 2025년 최저시급을 기준으로 한 월급은 2,096,270원입니다.

 

7단계. 연봉 계산

✔️ 월급: 2,096,270원

✔️ 연봉: 2,096,270원 × 12개월 = 25,155,240원

✔️ 따라서, 2025년 최저시급을 기준으로 한 연봉은 25,155,240원입니다. 

 

 


2025년 최저시급 알바 시급 계산

2025년 최저시급은 시간당 10,030원으로 결정되었습니다. 이는 아르바이트를 포함한 모든 근로자에게 적용되며, 근로형태나 시간에 관계없이 동일하게 적용됩니다.

 

 

주휴수당은 근로자가 일주일 동안 소정의 근로일수를 개근한 경우, 추가로 지급되는 유급휴일 수당입니다. 주 15시간 이상 근무하는 근로자는 주휴수당을 받을 수 있습니다. 

 

아르바이트를 하는 경우, 본인이 일하는 시간에 따라 예상 월급을 계산할 수 있습니다.

 

주 15시간 근무:

✔️ 근로시간: 15시간 × 10,030원 = 150,450원

✔️ 주휴수당: (15시간 ÷ 40시간) × 8시간 × 10,030원 = 30,090원

✔️ 주급: 150,450원 + 30,090원 = 180,540원

✔️ 월급: 180,540원 × 4.345 = 784,738원

 

 

주 20시간 근무

✔️ 근로시간: 20시간 × 10,030원 = 200,600원

✔️ 주휴수당: (20시간 ÷ 40시간) × 8시간 × 10,030원 = 40,120원

✔️ 주급: 200,600원 + 40,120원 = 240,720원

✔️ 월급: 240,720원 × 4.345 = 1,045,224원

 

2025년 최저시급을 기준으로 주 15시간 또는 20시간 알바의 월급을 위와 같이 간편하게 계산하셔도 되고, 또는 네이버 최저임금 계산기를 사용하셔도 됩니다.

 

 


결론

2025년 최저시급이 10,030원으로 오르면서, 월급과 연봉, 아르바이트 급여도 소폭 상승하게 됩니다. 정규직 근로자의 경우 주 40시간 근무하면 세전 약 2,096,270원을 받게 됩니다.

 

이를 연봉으로 환산하면 약 2,500만 원 수준입니다. 아르바이트 근로자의 경우에도 주휴수당 여부에 따라 실수령액이 달라질 수 있습니다. 최저시급 상승이 생활에 어떤 영향을 미치는지 정확한 계산을 통해 확인해 보세요!

 

 

 

최저임금의 적용대상과 계산방법

박사장은 도심의 작은 테이크아웃 전문 카페를 창업하기 위해 준비 중입니다. 종업원을 고용하기 위해 최저임금에 대한 법적 기준과 정확한 계산방식을 알아보는 것이 중요하다고 느꼈습니다.

mbanote2.tistory.com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