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BC와 AD의 뜻과 유래: 기원전과 기원후 표기의 비밀

담덕MBA 2025. 2. 26.

우리가 흔히 사용하는 연도 표기 중 'BC'와 'AD'라는 단어는 어디에서 유래했을까요? 학교 다닐 때 한 번쯤은 배웠을 법하지만, 막상 그 뜻과 배경에 대해 깊이 생각해 본 사람은 드물 겁니다. 이 글에서는 BC와 AD의 의미, 유래, 그리고 오늘날에는 어떻게 사용되고 있는지 알아보겠습니다.

 

 

BC와 AD의 뜻과 유래

먼저 'BC(기원전)'는 'Before Christ'의 약자로, 예수 그리스도 탄생 이전을 뜻합니다. 반대로 'AD(기원후)'는 라틴어 'Anno Domini'의 약자로, 이는 '우리 주님의 해'라는 뜻으로 예수 그리스도가 태어난 해를 기준으로 이후의 연도를 나타냅니다. 예를 들어, BC 300년은 예수님 탄생 300년 전을 의미하고, AD 2025년은 예수님 탄생 후 2025년째 되는 해를 뜻합니다.

 

 

✅ BC와 AD 표기의 유래

그렇다면 이런 표기법은 언제, 왜 생겨난 걸까요? 이는 6세기 경, 디오니시우스 엑시구스(Dionysius Exiguus)라는 기독교 수도사에 의해 처음 사용되었다고 전해집니다.

 

당시 유럽에서는 로마 제국의 황제 디오클레티아누스의 통치기간을 기준으로 한 연도를 사용하고 있었는데, 그는 기독교 박해로 악명이 높았던 황제였습니다. 이에 디오니시우스는 기독교적인 관점에서 새로운 연도체계를 만들기로 결심했고, 그 기준점으로 예수 그리스도의 탄생년을 선택했습니다.

 

 


BC와 AD외 다양한 연대표기법

하지만 디오니시우스가 계산한 예수님의 탄생 연도가 실제와 다르다는 점, 그리고 비기독교권에서는 이 표기법이 생소할 수 있다는 문제점이 있었습니다. 이에 현대에는 보다 중립적인 표현인 'BCE(Before Common Era)'와 'CE(Common Era)'가 많이 사용되고 있습니다.

 

 

BCE는 BC와, CE는 AD와 같은 연도를 가리키지만 종교적 색채를 배제한 표현입니다. 예를 들어, BC 300년은 BCE 300년으로, AD 2025년은 CE 2025년으로 표기할 수 있습니다.

 

📌 BC와 AD 표기법외 다양한 연대표기법

◼️ BCE와 CE: 종교적 중립성을 위해 BC 대신 BCE, AD 대신 CE라는 용어를 사용

◼️ BP: 'Before Present'의 약자로, 현재를 기준으로 몇 년 전인지를 나타내는 방식. 주로 고고학이나 지질학 분야에서 사용되며, 1950년을 기준점으로 삼습니다.

◼️ 단기(檀記): 단군이 고조선을 건국한 해인 기원전 2333년을 원년으로 하는 한국의 전통 기년법.

◼️ 불기(佛記): 석가모니의 입멸(열반) 연도를 기준으로 하는 불교의 기년법으로, 기원전 544년을 원년으로 합니다.

 

연도 표기 기준연도
BC (Before Christ) 예수 탄생 이전 예수 그리스도의 탄생 전
AD (Anno Domini) 예수 탄생 이후(주님의 해) 예수 그리스도의 탄생 후
BCE (Before Common Era) 기원전 (중립적 표현) 예수 그리스도의 탄생 전
CE (Common Era) 기원후 (중립적 표현) 예수 그리스도의 탄생 후
불기 (Buddhist Era) 부처님 열반 이후 기원전 544년
단기 단군이 고조선 건국한 이후 기원전 2333년

 

이러한 다양한 연대 표기법은 문화, 종교, 학문분야 등에 따라 사용이 되고 있습니다.

 

 


결론: BC와 AD의 현대적 의미

지금까지 BC와 AD의 뜻과 유래에 대해 알아보았습니다. BC와 AD는 단순한 연도 표기가 아닌, 역사적 배경과 문화적 변화를 반영하는 표기법입니다. 초기에는 기독교 중심의 사고에서 출발했지만, 시간이 지나면서 보다 중립적이고 포용적인 표현으로 변화해왔죠. 오늘날에도 여전히 많이 사용되지만, BCE와 CE가 점점 더 보편화되고 있는 것도 사실입니다.

 

결국 중요한 것은 어떤 표기를 사용하느냐보다는, 그 안에 담긴 역사적 의미와 배경을 이해하는 것이겠죠. 다음에 연도를 표기할 때는 BC, AD의 유래와 그 의미를 떠올리며 조금 더 깊이 있는 시각으로 바라보는 건 어떨까요? 😄

 

 

 

연중무휴 뜻, 불철주야 뜻과 유래, 다른나라 표현은?

우리는 일상생활에서 연중무휴와 불철주야라는 말을 자주 사용합니다. 특히 편의점이나 온라인 쇼핑몰 광고에서 "연중무휴"라는 문구를 쉽게 볼 수 있죠. 또, 누군가 밤낮없이 노력하는 모습을

mbanote2.tistory.com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