용어시리즈/잡학사전

여부 뜻과 유무 뜻의 차이점, 정확히 알고 쓰시나요?

담덕MBA 2025. 3. 14. 12:55

우리말에는 비슷한 의미를 가진 단어들이 많습니다. 그중에서도 여부와 유무는 종종 혼동되는 단어인데요. 두 단어 모두 어떤 것이 존재하는지, 혹은 그렇지 않은지를 나타낼 때 사용됩니다. 하지만 의미와 쓰임새에 있어 미묘한 차이가 있습니다. 오늘은 이 두 단어의 정확한 뜻과 사용법을 알아보겠습니다! 😊

 

여부 뜻과 사용법

여부(與否)는 한자로 '줄 여(與)' 와 '아닐 부(否)' 가 합쳐진 말로, '그렇고 아니함' 이라는 의미를 가집니다. 즉, 어떤 일이 성립하는지 여부를 나타낼 때 사용됩니다.

 

 

여부라는 단어를 한자로 풀어보면 與는 함께하다, 참여하다, 더불다와 같은 긍정의 의미를 나타내고, 否는 아니다, 거부하다, 부정하다와 같은 부정의 의미를 나타냅니다. 즉, 여부는 어떤 행위를 했는지(긍정) 안했는지(부정)을 나타내는 말입니다.

 

여부의 기본 구조

✔️ [명사] + 여부: 어떤 일이 존재하는지 아닌지를 나타냄

✔️ [동사] + (았/었/했)는지 여부: 어떤 행동이 이루어졌는지 아닌지를 나타냄

✔️ [형용사] + (ㄴ/은)지 여부: 어떤 상태가 존재하는지 아닌지를 나타냄

 

 

여부의 예문

✔️ 시험 합격 여부를 확인해야 합니다.

✔️ 출석 여부를 알려 주세요.

✔️ 계약이 성사될지 여부는 아직 확실하지 않습니다.

✔️ 그 정보가 사실인지 여부를 조사 중입니다.

✔️ 건강 상태가 양호한지 여부를 검사할 예정입니다.

 

 

여부와 자주 함께 쓰이는 표현

✔️ 결정 여부: 결정이 되었는지 아닌지

✔️ 가능 여부: 가능성이 있는지 없는지

✔️ 사실 여부: 사실인지 아닌지

✔️ 합격 여부: 합격했는지 아닌지

✔️ 참석 여부: 참석하는지 아닌지

 

여부는 어떤 일이 존재하는지, 발생했는지를 나타내는 중요한 개념입니다. 공식적인 문서나 일상적인 대화에서 자주 사용되며, 다양한 표현과 결합하여 활용할 수 있습니다.

 

 


유무 뜻과 사용법

유무(有無)는 한자로 '있을 유(有)' 와 '없을 무(無)' 가 합쳐진 말로, '있고 없음' 을 의미합니다. 즉, 어떤 사물이나 상태의 존재 여부를 나타낼 때 사용됩니다. 有는 있음을 뜻하고, 無는 없음을 뜻합니다. 

 

 

유무의 기본 구조

✔️ [명사] + 유무 → 어떤 것이 있는지 없는지를 의미함

✔️ [명사] + 의 유무 → 특정한 대상이 있는지 없는지를 강조할 때 사용

✔️ [동사] + 유무를 확인하다 → 어떤 것이 존재하는지 없는지를 점검

 

 

유무의 예문

✔️ 참석자 명단 유무를 확인해주세요.

✔️ 면허증의 유무에 따라 운전 가능 여부가 달라집니다.

✔️ 계약서 유무가 중요한 증거가 될 수 있습니다.

✔️ 보험가입 유무를 확인해야 합니다.

✔️ 지원자격의 유무를 먼저 점검하세요.

 

 

유무와 자주 함께 쓰이는 표현

✔️ 사실 유무: 사실이 존재하는지 없는지

✔️ 자격 유무: 자격이 있는지 없는지

✔️ 효력 유무: 효력이 있는지 없는지

✔️ 차이점 유무: 차이가 있는지 없는지

✔️ 책임 유무: 책임이 있는지 없는지

 

유무는 단순히 존재 여부를 나타내는 명사로 사용되며, '~의 유무' 형태로 많이 쓰입니다. 또한 어떤 것이 있는지 없는지를 판단할 때 주로 사용됩니다.

 

 


여부와 유무의 차이점 정리

여부와 유무는 비슷해 보이지만 쓰임이 완전 다릅니다. 잘못 사용하면 어색하거나 틀린 문장이 될 수 있으니 조심하셔야 합니다. 그렇다면 여부와 유무 차이점은 무엇인지 표로 비교해보겠습니다.

 

구분 여부 유무
어떤 일이 발생했는지 아닌지, 사실인지 아닌지를 나타냄 어떤 사물이나 개념이 존재하는지 아닌지를 나타냄
품사 의존 명사 (문장에서 보조 역할) 명사 (단독으로 사용 가능)
사용방식 주로 ‘~인지 여부’, ‘~했는지 여부’와 같은 형태로 사용 단독으로 ‘유무’, ‘~의 유무’ 형태로 사용
강조하는 의미 상태나 조건의 성립 여부를 강조 사물이나 개념의 존재 여부를 강조
자주 쓰이는 표현 참석여부, 합격여부, 계약성사 여부, 지원여부 등 면허증 유무, 보험가입 유무, 차이점 유무, 증거 유무 등
예문 "계약 성사 여부를 확인해 주세요." (계약이 성사되었는지 아닌지를 확인) "계약서 유무를 확인해 주세요." (계약서가 있는지 없는지를 확인)
혼용 가능 여부 일부 경우에만 가능 (완전히 같은 의미는 아님) 일부 경우에만 가능 (완전히 같은 의미는 아님)

 

 

📌 차이점 요약

🔎 여부는 어떤 사건이나 상태가 성립하는지 아닌지를 판단할 때 사용합니다.

예) "합격 여부를 발표합니다." (합격했는지 안 했는지를 알림)

 

🔎 유무는 어떤 사물이나 개념이 존재하는지 아닌지를 확인할 때 사용합니다.

예) "자격증 유무를 확인해 주세요." (자격증이 있는지 없는지를 확인)

 

🔎 유무는 명사로 단독 사용 가능하지만, ‘여부’는 보조적인 의미로 문장에서 함께 쓰여야 합니다.

예) "파일 유무를 확인해 주세요." (O)

예) "파일 여부를 확인해 주세요." (X, 어색함 → "파일이 존재하는지 여부를 확인해 주세요."가 자연스러움)

 

 

최정 정리하면 여부 뜻은 어떤 사실이나 사건이 성립하는지 아닌지를 따질 때 사용하고, 유무 뜻은 어떤 것이 존재하는지 아닌지를 판단할 때 사용합니다. 두 단어를 혼용할 수 있는 경우도 있지만, 일반적으로 '여부'는 상태나 사건, '유무'는 사물이나 개념과 관련이 깊습니다.

 

 


결론

여부 뜻과 유무 뜻은 비슷해 보이지만 의미와 용법에서 차이가 있습니다. 여부는 상황이나 사건이 일어날지를 따지는 데 사용하고, 유무는 사물이나 상태의 존재를 판단하는 데 씁니다. 이제 여부와 유무를 정확히 구분하여 문장을 더욱 정확하고 자연스럽게 만들어 보세요! ✍️

 

 

 

앉히다 안치다 차이, 정확히 알고 계신가요?

우리말에는 발음이 비슷하지만 의미가 전혀 다른 단어들이 많습니다. 특히 '앉히다'와 '안치다'는 헷갈리기 쉬운 대표적인 단어인데요. 여러분은 이 두 단어의 차이를 정확히 알고 계신가요? 일

mbanote2.tistory.com